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케이블업계, "시장점유율 등 불공정경쟁 규제 칼질 필요해"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는 10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4 디지털케이블TV쇼'에서 세계 최초 '케이블 UHD 상용화 선포식'을 열고 본격적인 서비스의 시작을 알렸다./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제공



케이블업계는 시장 점유율 등 불공정한 경쟁을 야기하는 정부 규제를 유료방송시장의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라고 입을 모았다.

김진석 CJ헬로비전 대표는 10일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4 디지털케이블TV쇼'에서 "정부는 규제 신설보다 결합상품, 시장 점유율 규제 등 잘못된 것을 바로 잡는 조치를 통해 시장에 공정한 경쟁이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케이블업계에 따르면 현재 통신업계는 고가의 스마트폰 고객을 유지하기 위해 인터넷과 유료방송 등을 결합상품을 통해 헐값에 취급해 시장의 질서를 혼탁하게 하고 있다. 유료방송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그에 걸맞는 정당한 대가가 담보돼야 더 나은 콘텐츠를 만들기 위한 유인이 되는데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그는 이어 "현재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는 광고 수익 악화까지 겹쳐 힘든 상황"이라며 "바람직한 방향은 콘텐츠가 제값을 받아 광고 수입을 대체할 수신료를 높이고 더 나아가 유료방송시장의 파이를 키우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성기현 티브로드 전무 역시 "복싱 경기에 아마추어 복싱 선수와 격투기 선수가 다른 룰로 경기에 임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게임이 되기 위해서는 규칙을 동일하게 하는 통합법이 제정돼야 한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