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년 9월 교과부에서 극지연구소를 한국해양과학기술원과 분리하겠다는 주장이 나왔다.
하지만 당시 허남식 부산시장과 김무성·유기준 지역 국회의원들이 교과부와 청와대를 방문해 극지연구소를 당시의 한국해양연구원에 존치시켰다.
이로써 2012년 7월 1일 극지연구소는 현재의 모습으로 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부설 연구기관으로 출범하게 됐다.
14일 부산시에 따르면 지난 2005년 지방분권화 정책에 따라 정부는 공공기관의 지방이전계획을 발표했다.
해양과학기술원과 함께 극지연구소는 부산 동삼동 해양수산혁신클러스터로 이전하기로 했지만 2009년 극지연구소가 한국해양연구원의 독립된 부설기관이라는 잘못된 자료로 인해 이전기관에서 제외 된 것이다.
이후 2012년 11월 19일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자신의 지역구(인천 연수구) 소재지에 있는 극지연구소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으로부터 분리독립화하는 것을 주요 골자로 한 '극지활동진흥법안'을 의원입법 발의했다.
이에 부산시는 정부, 국회 등을 방문해 극지연구소의 분리반대를 지속 건의했다. 또 지역 시민단체, 여야의 부산시당에서도 극지연구소의 분리반대 성명서를 연이어 발표했다.
하태경 의원을 중심으로 한 지역 국회의원들이 법안반대를 적극적으로 주장한 결과 국회 상임위 법안소위에서 많은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는 '극지활동진흥법안'을 심사대상에서 제외키로 했다.
그러나 심사대상에서 제외된 법률안의 재심의를 위해 지난 10일 농림해양위 법안소위에서 공청회를 개최했지만 정부의 수정법률안에 대해서는 전혀 논의되지 않고, 극지연구소의 분리독립화를 담은 조항이 삽입돼 있는 황우여 의원이 대표 발의한 법률안을 일부 수정한 법률안만 논의된 것이다.
이날 공청회 진술인으로 참석한 남극탐험 전문가인 이동화 남경엔지니어링토건 대표는 " '극지활동진흥법안'은 전형적인 청부입법"이라며 "극지연구소의 분리독립은 지역이기주의에 의한 발상으로 해양과 극지의 분리는 세계과학기술의 융복합을 거스르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부산항발전협의회, 부산항을 사랑하는 시민모임 등 시민단체에서도 부산지역 정서에 반하는 극지활동진흥법안 반대 성명서를 발표하는 등 법안의 통과 저지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국회에서는 오는 21일 농림해양위 법안 심사소위에서 수정법률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부산시 관계자는 "지역 국회의원들과 연계해 동 법률안의 저지를 위해 총력을 다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