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오전 전남 진도군 조도면 관매도 남서쪽 3㎞ 해상에서 수학여행길에 오른 고교생 등 475명이 탄 여객선 '세월호'가 침몰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이 사고로 17일 오전 1시30분 현재 6명이 숨지고 290명이 실종됐으며 179명이 구조된 것으로 잠정 집계했다. 475명의 탑승자 중에는 수학여행을 떠난 단원고 학생 325명, 교사 14명이 포함돼 있다.
해경은 날이 어두워지면서 한때 중단했던 선체 수색작업을 조명탄을 쏘며 재개했으나 침몰 여객선 내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실종자들의 생존 가능 시간은 속절없이 흘러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인천을 떠나 제주도로 향하던 6천825t급 청해진해운 소속 여객선 세월호가 '침수중'이라는 급박한 사고 소식을 전한 때는 16일 오전 8시58분경이며 여객선은 이후 2시간20여분만에 완전 침몰했다.
한 학생은 엄마와 마지막 통화에서 "엄마 구조대 왔으니 끊을게"라는 말을 남겨 안타까움을 더해주고 있다.
구조에 나선 해군과 해경, 어민들은 눈앞에서 가라앉는 여객선을 보면서도 이들의 목숨을 구하지 못했다.
사고가 나자 민·관·군·경은 경비정과 함선, 어선 등을 동원하고 해군 특수부대와 해경 요원 등을 투입해 실종자 구조 및 수색에 총력을 기울였다.
미국 해군 상륙강습함 '본험리타드호'도 투입됐다.
실종자 수색작업은 날이 밝으면서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해경은 17일 해경 특공대와 해군 잠수부 8명을 투입한 데 이어 날이 밝자 민간 어선을 동원해 선체와 사고 지점 주변의 수색에 나섰다.
그러나 시야가 흐리고 조류가 강해 난항을 겪고 있다.
해경은 이날 오전 0시 30분 물흐름이 멈춘 정조 시간에 맞춰 선체 수색을 진행했지만 강한 조류 때문에 1시간 만에 철수했다.
현재 사고 지점의 기상 상태는 초속 4.9m의 약한 바람이 불고, 파고는 1m 내외로 잔잔한 편이지만 오전부터 비가 예보돼 수색작업이 어려워질 수 있다.
해경은 실종자 대부분이 선체 안에 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앞서 박근혜 대통령은 사고가 발생하자 "해군과 해경 인력 및 장비, 모든 구조선박 등을 활용해 구조에 최선을 다하라"고 지시했다.
박 대통령은 오후에는 중대본을 직접 찾아 "학생들과 승객들이 불행한 사고를 당하게 돼서 참담한 심정"이라며 "생존자가 있을 것 같으면 끝까지 최선을 다해야겠다"고 강조했다.
안전행정부는 강병규 장관을 본부장으로 범정부 차원의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를 가동한 가운데 해양수산부와 교육부 등도 자체 수습대책본부를 꾸려 운영에 들어갔다.
수사본부를 설치한 서해지방해양경찰청은 일부 구조 승객이 "'쿵' 소리가 나더니 배가 갑자기 기울었다"고 진술한 가운데 기관장 등 여객선 승무원 등을 불러 사고 원인 등에 대한 조사에 나섰다.
침몰한 여객선 인양작업은 이르면 18일 오전부터 시작될 전망이다.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 등 여야 지도부는 사고 현장을 방문해 상황 파악 등에 나섰고 당별 대책위원회를 구성, 사고 수습 및 대책 마련을 위해 긴박하게 움직였다.
서울시장과 경기지사 경선 후보들은 일정을 모두 중단하고 진도로 급히 내려갔다. 부산과 충북 등의 예비후보들도 선거운동을 중단했다.
한편 중대본은 한때 구조자 수를 368명으로 발표했다가 오후 들어 실종자 수를 293명이라고 발표하는 등 구조자 및 실종자 수 등 집계에 혼선을 빚어 대형사고 수습에 치명적인 허점을 드러냈다는 비판을 받았다.
단원고와 관할 경기도교육청도 한때 "학생 전원이 구조됐다"고 발표, 자녀의 생사를 확인하지 못해 발을 동동 구르는 학부모들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