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총 승선자 수를 놓고 수차례 말을 바꿔 혼란을 키웠다는 비판을 받고 있는 정부와 세월호 선사가 아직까지 탑승 인원에 대해 확답을 하지 못하고 있다.
항공기나 철도 등 다른 이동수단에 비해 허술한 여객선 탑승 시스템으로, 최근 집계된 명단 외 무임승차 인원이 더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세월호 총 승선자 수는 사고 초기부터 혼선을 빚었다. 정부와 청해진해운은 사고 발생 후 전체 탑승객 수를 수차례 바꿔 발표했다. 사고 당일인 16일 오전 최초 477명으로 밝혔다가 오후 들어 459명, 462명으로 바꾼 뒤 오후 늦게 475명으로 다시 정정했다. 하루에 3차례나 바뀌었다.
그러나 이틀 뒤 범정부사고대책본부는 선사가 작성한 명부를 기초로 확인한 결과 승선자는 476명으로 1명 더 늘었다고 발표했다. 승객 2명이 안개 때문에 출항 여부가 불명확해지자 비행기를 탔거나 귀가했고, 생존자 중 3명이 승선원 명부를 작성하지 않고 차량에 동승해 결과적으로 1명이 늘었다는 설명이다.
최종 승선자 수가 중요한 이유는 실종자 수를 파악하는 단서이기 때문이다. 정부는 최종 승선자 수가 오락가락하는 상황에서 사망자와 구조자를 뺀 나머지를 실종자로 추정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가 공식 발표한 476명도 정확한 탑승 인원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 당시 세월호에 무임승차한 인원이 몇 명이었는지 파악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서해지방해양경찰청의 한 고위 관계자는 20일 "추가로 확인된 3명이 모두 무임승차 인원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면서 "폐쇄회로(CC)TV를 보고 평소 세월호를 자주 이용하던 화물차량 기사들의 얼굴을 확인했다"고 말했다.
선사 측도 무임승차 인원을 알 수 없어 최종 승선자 수가 더 늘어날 가능성에 대해 부정하지 못하고 있다.
세월호 선사인 청해진해운의 한 관계자는 "현재 무임승차한 승객이 더 없다고는 말 못한다"며 "있어도 많지 않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선사 측은 정부의 '476명' 수정 발표가 있기 전 한 화물차량 기사의 부인이 무임승차했다가 사망자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명단에 없던 사망자였다. 이 인원이 정부가 18일 발표한 추가 인원 3명에 포함됐는지는 선사 측도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
세월호를 평소 자주 이용했던 화물차량 기사 정모(45)씨는 "화물차량 기사 부인은 보통 선사 직원의 사인을 받아 50% 할인을 받기도 하지만 대부분 승선표를 제 돈 주고 사거나 화물차량 운전석 침대에 몰래 태워 무임승차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