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의 부실채권 비율이 지난해 말 21.9%에서 2016년 말에는 11.7%로 줄어들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21일 현재 영업 중인 88개 저축은행 부실채권 감축 계획을 제출받아 '부실채권 감축 세부 추진 계획 수립'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앞서 금감원은 올 2월 초 저축은행의 부실채권을 조기에 감축하기 위해 감축계획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따라 저축은행들은 올해부터 2016년까지 3년동안 대손상각 및 담보물 처분 등을 통해 모두 6조3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정리할 계획이다.
최종 감축기한인 2016년 말 부실채권비율은 작년말 21.9% 대비 10.2%포인트 하락한 11.7%로 전망된다.
이 가운데 일반 부실채권은 3조8878억원으로 담보물 처분으로 1조5209억원을 회수하고 1조868억원의 대손상각을 통해 상당부분을 정리할 계획이다.
일반 부실채권의 경우 2013년 말 부실채권 비율이 20%를 초과하는 28개사 등 모든 저축은행이 2016년 말까지 10% 이하로 목표비율을 설정했다.
특히, 2016년 말까지 10% 이하로 목표비율을 설정한 저축은행이 전체 88개사 중 71개사(80.7%)에 달했다.
단기간 매각과 회수가 곤란한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채권 2조4404억원의 경우, 약 70%인 1조6561억원을 대손상각 처리한다.
저축은행들은 올해부터 2016년까지 3조9941억원의 부실채권이 신규로 발생할 것으로 예상해 향후 3년간 순감소하는 부실채권은 2조4341억원이 될 전망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오는 6월말부터 매반기별로 부실채권 목표 비율 이행실적을 점검하고 감축을 독려할 계획"이라며 "저축은행중앙회 내에 설치된 '부실채권 협의체'를 통해 업계와 애로사항 등을 협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