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지난해 6월 출범한 재직자 대상의 인력양성 프로그램인 '빅데이터(거대자료) 아카데미'를 통해 금융·의료·제조·유통·게임 등 다양한 산업분야의 빅데이터 전문가 202명을 배출했다고 22일 밝혔다.
미래부는 '빅데이터 아카데미'의 지난 한 해 성과를 정리하고 기술·분석적 노하우를 공유하기 위해 '빅데이터 아카데미 우수 프로젝트 사례집'을 발간했다며 이 같이 전했다.
이번에 발간한 사례집은 교육 연수 중 실시한 프로젝트의 발굴부터 개발까지 전반적인 과정을 소개하며, '빅데이터 프로젝트' 추진 기업과 전문가들이 방향을 참고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됐다.
빅데이터 아카데미는 총 8주 교육과정 중 이론 강의(2주) 외에 ▲영화흥행 예측 분석 ▲상장폐지기업 예측 분석 ▲쇼핑몰 상품 트렌드 분석 플랫폼 등 36건의 파일럿 프로젝트 실습(6주)도 병행했으며, 주목할 만한 사례로는 '상장폐지기업 예측 분석'을 통해 실제로 정확한 예측을 보여 재무정보 서비스 업체로부터 추가 개발 의뢰를 받기도 했다.
또 연수생들은 연수기간 중 실시한 다양한 빅데이터 프로젝트 경험을 토대로 현업에 복귀해 공공 및 민간 66개 기관에서 실시하는 빅데이터 프로젝트 70여건에 참여하는 등 산업계 전반에서 성괄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빅데이터 기술전문가 2기를 수료한 김훈동 신세계S.COM 과장은 교육 중 실시한 '온라인 쇼핑몰 실시간 분석 시스템'을 현업에 적용해 국내 최초로 빅데이터 특성이 반영된 종합쇼핑몰을 올해 새해 첫 날 오픈했다.
강성주 미래부 국장은 "지난해 빅데이터 직무분석 결과를 토대로 빅데이터 아카데미 세부 커리큘럼을 보완 중"이라며 "하반기부터는 업무 여건상 교육 참석이 어려운 기업을 직접 찾아 현장 맞춤형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뿐 아니라 빅데이터 아카데미를 통해 전문가 양성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