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24일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산업 발전전략' 마련을 위한 공개토론회를 개최한다.
미래부는 이날 오후 3시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 제2대연회실에서 이같은 공개토론회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앞서 미래부는 내년 3월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시행에 따른 방송시장 개방에 적극 대비하고 PP산업을 창조경제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올 2월부터 학계, 연구기관, 업계 등이 참여한 연구반을 구성해 'PP산업 발전전략'을 논의해 왔다.
이번 공개토론회에서 공개되는 'PP산업 발전전략(안)'은 3대 전략 및 9개 추진과제로 구성돼 있으며, PP산업의 성장을 제약하는 규제와 창의력과 아이디어를 가진 중소 PP와 복수방송채널사용사업자(MPP), 플랫폼사업자가 상생을 통해 국내 유료방송의 왜곡된 구조를 개선해 방송콘텐츠의 경쟁력을 획기적으로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담았다.
세부적으로는 플랫폼-PP간 상생협력, 방송프로그램 제작지원 개선 등을 통해 PP산업의 선순환적 생태계를 조성하고 유료방송시장 공정한 거래를 유도하며, 중소·개별 PP 육성을 통해 PP 채널의 다양성과 공정성을 제고하는 내용 등이 포함됐다.
이번 토론회는 그동안 연구반 차원에서 마련된 초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한 것으로, 정훈 서강대 교수(연구반 반장)가 발전전략(안)을 발표하고 분야별 사업자 대표, 학계 및 관련 전문가 등이 패널로 참석해 토론하면서 관련 사업자들의 의견을 공개적으로 청취하는 형식으로 진행된다.
박윤현 미래부 방송진흥정책관은 "PP산업 발전전략 수립을 통해 시장에서 양질의 방송프로그램 제작이 활성화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고 방송프로그램 생산 및 유통의 주역인 PP 업계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유료방송 생태계의 질서를 바로 잡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래부는 이번 토론회와 관계부처 협의 등을 거쳐 'PP산업 발전전략(안)'을 보완한 뒤 5월중 최종 발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