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유플러스가 올 1분기 과도한 보조금 투입 등 마케팅 비용 과다지출로 부진한 성적표를 받아들었다. LG유플러스는 1분기에만 5000억원이 넘는 마케팅 비용을 쏟아부었다.
LG유플러스는 1분기 매출액이 2조7804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했다고 28일 공시했다. 영업이익은 1131억8500만원으로 8.1% 줄었다.
LG유플러스는 1분기 마케팅 비용으로 5511억원을 지출했다. 이는 지난 분기 4772억원 대비 15.5% 증가한 금액이다.
LG유플러스를 포함한 이동통신 3사는 올 초부터 '1.23 대란', '2.11 대란'이라는 신조어를 등장시킬 정도로 가입자 유치를 위해 무제한 불법 보조금을 살포했다.
특히 LG유플러스는 SK텔레콤과 함께 보조금 전쟁를 주도한 통신사업자로 지목,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기존 45일에 14일의 추가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이는 이통 3사 중 가장 강한 제재다.
1분기 매출액은 영업정지(3월 13일~4월 4일) 기간 동안 단말기 매출이 감소한 영향으로 부진했다. LG유플러스는 27일부터 다음달 18일까지 2차 영업정지 기간이 남아있다.
무선 서비스 수익은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 증가에 따라 전년 동기 대비 12.8% 늘어난 1조2485억원을 기록했다. 1분기 LTE 서비스 가입자는 전년동기 대비 43.4% 증가한 약 746만명이었다.
무선 서비스 가입자당 평균매출(ARPU)은 영업정지 여파로 전분기 대비 0.1% 하락한 3만5362원을 기록했다. 반면 유선 서비스 수익은 TPS(IPTV·인터넷전화·초고속인터넷) 힘으로 4.1% 증가한 7693억원을 달성했다.
LG유플러스 측은 "앞으로도 정부의 시장 안정화 조치에 적극 동참함과 동시에 혁신적인 서비스를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SK텔레콤과 KT의 1분기 실적은 29일과 30일 각각 발표된다. SK텔레콤 1분기 실적에는 통신장애에 따른 피해보상금이 반영된다. KT는 대규모 특별 명예퇴직으로 인한 일회성 비용이 발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