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통신사들이 불법 보조금으로 인한 순차적 영업정지로 인한 타개책으로 단말기 출고가 인하 카드를 꺼내 들고 있다. 기존 보조금 투입 효과와 유사한 가격 할인 혜택을 고객에게 제공할 수 있는 데다 제조사들의 우호적인 자세도 단말기 가격 인하 움직임에 힘을 싣고 있기 때문이다.
27일부터 영업을 재개한 KT는 전용 기종인 '갤럭시S4 미니' 가격을 기존 출고가의 절반인 25만9600원으로 인하했다. 정부가 정한 한도인 27만원 내에서 보조금이 지급되면 사실상 단말기 가격을 지급하지 않고도 살 수 있다.
KT는 팬택 '베가 시크릿업'의 출고가 역시 다음달 초 인하할 계획이다. 또 LG전자와 '옵티머스GK' 모델에 대한 추가 가격 인하 문제도 협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러한 휴대전화 단말 가격 인하 경쟁은 LG유플러스가 촉발했다. 현재는 협상 결렬로 판매가 잠정 중단됐지만 LG유플러스는 지난 18일 팬택 베가 시크릿업 모델의 출고가를 95만4800원에서 59만9500원으로 낮췄다.
이같은 경쟁사들의 움직임을 지켜보고 있는 SK텔레콤도 영업재개가 이뤄지면 단말기 가격 인하 경쟁에 합류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이통사들은 기기변경 프로그램도 강화했다.
KT는 27일부터 휴대전화 구입 후 12개월이 지난 시점에 납부한 누적 기본료가 70만원을 넘으면 사용 중인 휴대전화 반납을 조건으로, 남은 약정기간을 채우지 않아도 휴대전화 할부금과 위약금을 면제해주는 '스펀지' 플랜 요금제를 새롭게 내놨다.
앞서 LG유플러스는 지난 20일 단말기를 24개월 이상 사용 중인 고객이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인 'LTE8무한대 80'이나 'LTE무한 85'로 갈아타면 기존 1만8000원 할인에 1만5000원을 추가 할인해주는 '장기고객 대박 할인'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김장원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영업정지가 해제되는 사업자마다 무제한 데이터 요금제 등 새로운 마케팅 전략을 제시하고 있다"며 "하지만 결론적으로 사업자별로 차별이 없다는 판단이다"라고 말했다.
/서승희기자 ssh8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