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SK텔레콤, 1분기 영업익 2524억…전년비 37.6%↓(상보)

SK텔레콤은 국제회계기준(K-IFRS) 연결 재무제표 기준으로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2524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37.6% 감소했다고 29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4조2019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3.4% 증가했다. 반면 당기순이익은 2673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2.7% 감소했다.

1분기 매출이 증가한 것은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 증가와 B2B 솔루션 등 신규사업 성장에 힘입은 것이라고 회사 측은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3월 말 기준 SK텔레콤의 LTE 가입자는 약 1470만명으로, 전체 가입자의 56% 비중까지 늘었다. 데이터 상품 경쟁력 강화에 따라 SK텔레콤은 올 연말 LTE 가입자가 전체 가입자의 3분의 2 수준에 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B2B 솔루션 사업 매출 역시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한 1155억원을 기록하며 본격적인 성장궤도에 올라섰다.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 감소는 일시적 마케팅 비용의 증가와 통신장애 보상비용 지급의 영향이 컸다.

1분기 SK텔레콤은 이동통신사로는 세계 최초로 자체 개발한 통화 플랫폼 'T전화'를 상용화하고 신규 단말 교체 고객을 위한 '더블안심옵션' 요금제와 고객 이용 패턴에 맞춘 'T스포츠팩 이용권', 'Btv모바일팩 이용권' 등 다양한 신규 서비스를 출시하며 상품·서비스 경쟁으로의 시장 패러다임 전환에 주력했다.

특히 T전화는 이용 고객들이 매우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향후 또 하나의 차별적 경쟁력으로 자리매김 할 수 있을 것이라고 SK텔레콤은 전했다.

장기 고객 혜택을 강화한 서비스도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장기 고객 '데이터 리필하기' 서비스의 월 이용건수가 100만건을 돌파했고, 'VIP'·'GOLD' 등급의 T멤버십 할인 한도를 없앤 '무한 멤버십' 이벤트도 이용고객이 10배까지 증가했다.

SK텔레콤이 신규 성장 동력으로 육성중인 정보통신기술(ICT)기반 융합사업 역시 사업화에 속도를 내고 있다. SK텔레콤은 올초 사물인터넷(IoT)을 기반으로 한 실시간 차량관리서비스 'T카'를 새롭게 선보였고, 최근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및 LG히다찌와 각각 IoT 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SK텔레콤은 향후 B2B 솔루션 사업의 성장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SK텔레콤은 스마트카와 연계한 자동차 영역, 화물 및 고가자산에 대한 자산관리 영역, 스마트팜 등 농업 영역 등을 IoT 핵심사업으로 정하고 적극적으로 사업화에 나설 계획이다.

IoT 산업 리더십 확보를 위해 SK텔레콤은 최근 SK브로드밴드와 함께 LTE 네트워크 전 구간에서 차세대 인터넷 주소체계인 IPv6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 구축을 완료했다. IPv6 체계에서는 사물마다 IP 주소를 부여할 수 있어 사물간 양방향 통신이 더 효율적으로 이뤄질 수 있다.

황수철 SK텔레콤 최고재무책임자(CFO) 재무관리실장은 "시장 안정화를 위해 상품·서비스 중심으로의 경쟁 패러다임 전환을 일관되게 추진하고 있다"며 "차별화된 상품·서비스 경쟁력을 바탕으로 데이터 시대를 선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