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정치일반

"국민 10명 중 4명, 통일비용 부담의향 없다"

우리 국민의 절반 가까이는 통일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질 의향이 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가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말 실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통일을 위해 추가비용을 부담할 의향이 있느냐. 있다면 1년에 얼마를 부담할 의향이 있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44.3%는 '부담하지 않겠다'고 답했다.

'5만원 미만'을 부담하겠다는 응답이 31.9%, '5만~10만원'은 11.7%, '10만~30만원'은 8.7%를 차지했다. '100만원 이상'을 부담하겠다는 응답자는 1.2%로 나타났다.

이어 '가급적 빨리 통일을 해야 한다'는 응답은 25.8%, '통일은 해야 하나 서두를 필요가 없다'는 응답은 45.8%를 차지했다. '굳이 통일할 필요가 없다'(18%)와 '통일에 관심이 없다'(10.2%)는 부정적인 답도 30% 가까이 조사됐다.

통일의 중요성 항목에서는 청년층과 노년층 간에 인식의 차이를 보였다.

19~29세에서는 '통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응답 비율이 28.5%에 그쳤으며 '별로 중요하지 않다'와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응답도 각각 24.5%, 7.1%를 나타냈다.

반면 60세 이상에서는 '통일이 매우 중요하다'는 응답 비율이 46.7%로 상대적으로 크게 높았다. '전혀 중요하지 않다'는 답을 고른 이는 1명도 없었다.

또한 응답자들은 통일 추진에 가장 큰 장애물로는 북핵 문제(38.5%)를 꼽았다. 남남갈등(24,7%), 통일비용(23.3%), 주변 강대국의 입장(12.4%) 등도 있었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11월28일부터 12월16일까지 전국 성인남녀 1001명을 상대로 면접조사 방식으로 진행됐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p다. 이 조사결과는 최근 공개된 서울대 국제문제연구소가 제출한 통일부 정책연구용역 보고서에 실렸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