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민 25명 중 한 명 꼴로 '외국인 40만 시대'를 맞은 서울시가 외국인주민의 복지 향상을 위한 '다(多)가치 서울 마스터플랜'을 마련했다.
조현옥 서울시 여성가족정책실장은 8일 "오는 20일 세계인의 날을 앞두고 외국인 주민과 함께 더불어 잘살아가자는 의미에서 이번 계획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마스터플랜은 인권가치 확산, 문화 다양성, 성장 공유, 역량 강화를 4대 축으로 14대 정책과제와 100개 사업을 담았다.
시는 우선 외국인 인권 보호를 위해 본청에 외국인주민인권팀을 신설했다. 실직·가정 불화로 당장 머물 곳이 없는 외국인 주민을 위한 쉼터도 동남·동북·서남·서북권 등 4개 권역별로 1곳씩 설치할 계획이다.
또 경제적 사정이 어려운 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들이 자국 문화원을 설립할 수 있도록 2018년 '통합국제문화원'을 만들어 한 곳에서 여러 국가의 문화를 체험할 수 있게 할 방침이다. 외국인 종합지원시설인 서울글로벌센터도 현재 1곳에서 2곳으로 늘린다.
민간은행과 협의해 외환 송금·환전 수수료 할인 서비스도 제공한다. 내년부터는 국내법과 질서를 알려주는 '시민 되기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외국인 주민 자율방범대를 확대 운영한다.
근로자·유학생·결혼이민자·중국동포 등 대상별로 자립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사업도 시행한다. 올해 9월에는 외국인주민 취업박람회를 열기로 했다.
직장 내 차별대우와 임금체납에 대한 소송을 전담 지원할 '외국인근로자 법률 지원관'도 내년부터 운영한다.
이외에 외국인 유학생 종합상담지원센터 설치(2016년), 유학생 민간기업 인턴십 프로그램, 결혼이민자 자녀 장학금 지원, 외국인주민 자녀 취업 지원 육성기관, 중국동포 민관협의체 구성 등 정책도 시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