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의 새 원내대표 선출이 마무리되면서 정치권의 관심은 19대 국회 후반기 원 구성으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국회직의 '꽃'에 비유되는 상임위원장을 누가 맡을지가 초미의 관심이다.
19대 국회 전반기를 이끌었던 18명의 상임위원장의 임기가 오는 29일로 종료함에 따라 여의도에는 후반기 상임위원장을 노리는 여야 중진 의원들의 '불꽃경쟁'이 이미 시작됐다.
후반기에도 새누리당이 10개, 새정치민주연합이 8개의 상임위원장을 맡을 가능성이 유력한 가운데 일부 상임위는 여야 각당의 내부 '교통정리'가 안돼 경선을 치러야 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상임위원장에는 관례상 3선 중진 의원들의 전면 배치가 예상된다. 새누리당 신임 원내지도부는 9일까지 제출받은 소속 의원들의 희망 상임위 신청 결과를 토대로 이달 안으로 상임위원장 선정을 끝낼 방침이다.
이완구 원내대표가 당연직으로 맡는 국회 운영위원장 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9개 상임위가 조정 대상이다.
금융당국을 담당하는 정무위원장을 놓고 김재경 의원과 옛 경제기획원 출신의 정우택 최고위원이 양보 없는 경쟁을 펼치고 있다.
당내 조율을 거쳐 두 사람 중 한 명이 정무위원장을 맡고, 다른 한 명은 '세월호 참사'로 중요성이 부각되는 안전행정위원장으로 선회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기획재정부를 소관하는 기획재정위원장으로는 경제통인 정희수 의원이 유력하게 거명된다.
방송 관련 현안과 '창조경제'를 다루는 미래창조과학방송통신위원장 자리는 진영 의원이 관심을 보이는 가운데 당 사무총장인 홍문종 의원도 후보로 거론된다.
외교통일위원장에는 유기준 최고위원이 의욕을 보이고 있으나, 한 번도 상임위원장을 맡은 적이 없는 5선의 이재오 의원도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두 사람이 경선을 벌이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온다.
국방위원장은 군 장성 출신의 황진하 의원이 물망에 올라 있고, 국가정보원 개혁 과제를 안고 있는 정보위원장에는 4선의 원유철 의원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예결위원장 후보로는 관료 출신이자 경제통인 김광림 의원의 이름이 오르내리는 가운데 일각에서는 19대 국회 첫 예결위원장을 맡았던 장윤석 의원에게 한번 더 기회를 주자는 목소리도 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