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문기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이 국제전기통신연합(ITU) 부산 총회 홍보와 한국인 최초 ITU 고위직 선출을 위해 본격 나섰다.
17일 미래부에 따르면 최 장관은 15일(현지시간) 스위스 제네바에서 연례 이사회에 참석한 각국 대표 및 대사들을 대상으로 ITU 전권회의 선거 활동을 진행하고 16일 제9차 세계정보통신의 날(WTISD) 기념식에 참석해 고위급 라운드테이블에서 올해 10월 부산에서 열리는 ITU 총회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펼쳤다.
최 장관은 WTISD 기념식 참석에 앞서 15일 ITU 48개 이사국 대표단과 각국 주제네바 대사 등 약 200여명을 대상으로 선거 리셉션을 개최, 우리나라의 ITU 표준화 총국장과 7선 이사국 진출 지지를 위한 집중적인 교섭 활동을 전개했다.
현재 ITU 고위 선출직에는 12개국, 이사국 선거에는 57개국, 전파규칙위원회 위원 선거에 19개국이 출마한 상황이며 이번 이사회 기간 중에도 미국, 영국, 중국, 러시아, 일본 등 대부분의 선거 출마 후보국이 리셉션을 개최하는 등 치열한 선거 운동을 펼쳤다.
우리나라는 이재섭 박사가 표준화 총국장 선거에 출마했다. 표준화 총국장은 이동통신, IPTV 등 정보통신기술(ICT) 글로벌 표준에 대한 최종 결정권한을 갖고 있어 우리나라 기술·산업이 세계를 주도하는데 큰 기여를 할 수 있는 중요한 직위다.
이재섭 후보는 다년간 표준화 전문연구반 의장 또는 부의장으로 활동하고, 각국 통신정책 자문 등을 수행했으며, ITU 표준화 분야에서 26년간 활발한 활동을 통해 높은 전문성을 인정받고 있다. 특히 우수한 인적 네트워크도 보유하고 있어 선거에 유리하게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한편 WTISD 기념식에서는 ITU가 올해의 공로상 수상자로 박근혜 대통령을 선정함에 따라 최 장관이 대리 수상하기도 했다.
ITU는 WTISD를 기념해 매년 시대적 이슈가 되는 ICT 분야를 주제로 정하고 해당 분야의 수훈을 세운 글로벌 리더 3인을 선정해 공로상을 시상한다.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브로드밴드'를 주제로 개최된 올해 기념일에서는 박 대통령 외에 UN 브로드밴드 위원회 공동위원장인 폴 카가메 르완다 대통령, 까를로스 슬림 멕시코 카르소 그룹 회장이 공로상을 수상했다.
ITU는 우리나라가 ICT 발전지수에서 4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디지털 환경 속에서 역동적 국가경제를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한 데 높이 평가하고 한국을 대표해 박 대통령을 올해의 WTISD 공로상에 선정했다고 밝혔다.
미래부는 이번 수상이 "1990년대 후반 시작된 브로드밴드의 확산이 이제는 전체 인구의 80%인 4000만명이 인터넷 이용자인 현황이 증명하듯, 우리나라 ICT 분야의 눈부신 발전상을 세계가 인정한 증거"라며 "브로드밴드의 혜택 확산을 위한 ITU 및 회원국들간의 다양한 협력 사업을 진행하며 상생 발전을 주도한 한국의 글로벌 리더십이 세계에 인정받고 있다"고 전했다.
최 장관은 이어진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브로드밴드'를 주제로 진행된 고위급 패널 토의에서 "한국이 브로드밴드 강국으로 인정받게 된 것은 정부의 진흥정책, 민간시장의 경쟁환경 조성, 국민들의 정보화 수요 등 3요소가 어우러졌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 장관은 "최근 통신기기의 폭발적 증가에 따라 광대역 기술과 사물인터넷(IoT) 기술이 급속히 진전되고 있다"며 "2017년까지 주요 도시 90% 가정에서 기가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고 2020년까지 개인 휴대전화를 통해 1Gbps 속도로 통신할 수 있는 세계 최고의 5세대(5G) 기술을 구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최 장관은 2박 3일간의 제네바 방문 일정을 마치고 이날 미국 워싱턴으로 이동, 글로벌 혁신센터 개소식과 한미 과학기술공동위원회 등에 참석해 정보통신·과학기술 분야 외교 활동을 이어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