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올해 '전자태그(RFID) 등 센서 시범사업'으로 공모를 거쳐 11개 신규과제를 선정했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사물인터넷(IoT)의 기반이 되는 센서산업 육성 및 사회 각 분야 확산을 목표로 하는 사업으로, 올해는 기존 범용 RFID를 넘어 초소형·감지·내구·내열성 등이 추가된 '특수 RFID'를 적용하고, RFID에 기반한 다양한 지능성 서비스 모델을 검증하는 'RFID 응용서비스'에 초점을 맞췄다.
특수 RFID 적용 시범사업은 ▲비에이치의 초소형 RFID를 통한 제조 이력 관리·제조 정보 협력사간 공유 과제 ▲녹십자의료재단의 온도 감지 RFID를 통해 체혈된 혈액팩의 안전한 유통과 적정품질을 보장하는 과제 ▲한국알루미나의 유해가스 감지 RFID를 통해 가스 누출시 경보를 관리자에 자동 통보하고 119 등 유관기관에 사고 정보를 중계하는 과제 ▲한국LPG산업협회의 내구성·내열성 RFID를 LPG 용기에 부착하고 충전·검사·판매 등 전 과정 이력 관리 과제 등이 포함됐다.
특히 LPG 용기와 혈액팩 관리 사업은 이번 시범사업 성과를 바탕으로 부착 의무화를 위한 법제도 개선까지 검토중이다.
RFID 응용서비스 시범사업은 ▲SK텔레콤과 동부엔티에스의 충격센서·블랙박스 정보 등을 바탕으로 교통사고 발생시 유관기관(119 등 긴급구조기관 및 보험사)에 사고 정보를 자동전송하는 차량 긴급구난(e-Call) 실증서비스 ▲이이시스의 심야 시간대 등 전력을 축적했다가 주간 피크시간대에 꺼내 활용하는 가정용 에너지 저장장치(ESS) 실증 서비스 ▲엠큐로직스틱스의 제품 입·출고 등 물류 관리를 기존의 바코드 리더에서 스마트 안경에 내장된 카메라를 이용하는 서비스 등이 담겼다.
미래부는 특히 센서 기반 응용서비스가 본격 확산되기 위해서는 기술적 요인뿐 아니라 제도적 요인의 개선도 중요하다고 판단,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확산 저해요인 도출 및 해결방안 확인에 중점을 두고 있다.
강성주 미래부 정보화전략국장은 "사물인터넷 시대를 맞아 RFID 등의 센서가 다양한 산업 및 사회 각 분야와 융합한다면 신시장 창출은 물론 저비용·고효율의 국가사회 인프라를 구축, 경제혁신과 창조경제 실현에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