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은 28일 세월호 국정조사 증인 채택과 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를 둘러싸고 계속되는 야당의 의혹 제기에 대해 강하게 비판했다.
이완구 비대위원장은 "야당이 국조 계획서에 특정인의 이름을 열거해 넣어달라고 주장하는데, 법과 관행에 의하면 그런 경우가 없다"며 "국회는 법과 관행에 의해 운영되는데 안타깝다"고 밝혔다.
조해진 비대위원도 "야당이 세월호 국조 건과 관련해 국회 출범을 막아서는 볼모 전략을 사용하고 있다"며 "야당이 여당을 압박하는 수단으로 이미 합의된 국조를 활용하는 일이 없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윤상현 사무총장은 부산 선대위 회의에서 "안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 날짜가 지정되기도 전에 새정치민주연합 지도부가 아예 임명불가를 당론 수준의 방침으로 정해놨다"며 "총리 후보자를 악의적 정치공세의 표적으로 삼아 일주일 앞으로 다가온 지방선거에 이용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날 안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에 대비해 자당 몫인 특위 위원장과 특위 위원을 내정, 조기 가동에 들어가는 등 안 후보자에 대한 본격 검증 채비에 들어갔다.
또 안 후보자를 '기부금 총리', '전관예우의 적폐'라고 비판하면서 스스로 사퇴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압박했다.
박영선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표단-인사청문사전검증팀 연석회의에서 "안 후보자는 이제 기부금 총리가 됐다"며 "기부금을 내고 총리가 되겠다는 사람을 국민이 과연 용납할 수 있겠는가"라고 말했다.
당 사전검증팀 간사이자 특위 위원인 김기식 의원은 지난해 7월 이후 올해까지 안 후보자의 변호사 활동 수익이 사실상 27억원에 가까울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하며 사건 수임 내역을 공개하라고 요구했다.
김 의원은 "후보자 납세 사실증명서를 보면 2013년도 부가가치세를 1억8700여 만원 냈고, 올해 부가가치세로는 약 8900만원을 냈다"며 "부가가치세를 역으로 계산하면 변호사 개업기간 동안 약 27억 정도의 사건 수임료를 수수한 걸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어 안 후보자가 5억2000만원 상당의 현금·수표를 보유한 것도 언급하며 "안 후보자는 사건 수임료 반환 목적이라고 해명했는데 왜 계좌이체가 아닌 현금 인출을 했는지, 또 인출 시점은 언제인지 밝혀야 한다"며 "수임료 반환 역시 정치적 수임료 반환은 아닌지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