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대희 국무총리 후보자의 낙마로 박근혜 대통령이 29일 후임 총리 재물색 작업에 착수했다.
새 총리가 임명돼야 개각을 통해 제2기 내각을 출범시킬 수가 있는데다 국회 인사청문회 일정 등을 감안할 때 신속하게 '대타 총리'를 찾지 않으면 국정 공백이 장기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안 후보자가 '전관예우' 논란에 휘말려 낙마한 만큼 후임은 후보군 가운데 국회 인사청문회를 넘을 수 있는 민심의 눈높이를 기준으로 옥석을 가릴 가능성이 커졌다.
이미 새누리당은 당소속 김무성·최경환 의원, 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그리고 김성호 전 국정원장 등을 청와대에 일찌감치 천거했다.
일단 박 대통령은 현 정부에서 지나치게 법조인이 편중됐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법조인은 후보군에서 배제할 가능성이 커보인다. 또 언론과 야당의 인사검증을 통과할 수 있는 인사를 뽑는데 주안점을 둘 것으로 예상된다. 국가개조나 관피아 혁파 등 혁신을 위해서는 국정과 민심에 밝고 강한 추진력을 갖춘 자질도 요청된다.
이러한 기준에서 이번에는 정치인 출신을 발탁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다. 정치인은 선거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검증을 받는 만큼, 인사검증을 통과할 가능성이 다른 직군 출신 인사들보다 높다는 의견이다. 또 동료 정치인들이어서 인사청문회에서도 상대적으로 '살살' 다루는 것도 이점이다.
이런 점에서 지난 대선에서 총괄선대본부장을 맡은 새누리당 김무성 의원이 유력 후보군으로 거론된다. 지방선거후 중앙무대로 복귀하는 김문수 경기지사를 적임자로 꼽는 이들도 있다. 김 지사는 재산도 많지 않고 8년간 경기도지사를 하면서 행정도 경험했고 개혁적 이미지가 강한게 장점이다.
다만 이들은 당권에 의욕을 보이고 있고, 대권에도 관심이 많아 '대선 주자의 무덤'이라고 하는 총리직을 택할지는 불투명하다.
호남 출신인 한광옥 위원장은 국민대통합이라는 부분에서 장점이지만 , 2005년 '나라종금 퇴출저지 로비사건'에 연루된 것이 핸디캡이다. 최경환 의원의 경우 박 대통령의 최 측근으로 분류돼 야권의 표적이 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