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스카이라이프가 2일 서울 목동 KT체임버홀에서 'SkyUHD 개국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왼쪽부터 순서대로)윤종록 미래부 차관, 황창규 KT 회장, 이남기 KT스카이라이프 사장, 허원제 방통위 부위원장이 송출식에서 버튼을 누른 뒤 박수를 치고 있다./KT스카이라이프 제공
지난 4월 케이블TV 업계가 초고화질(UHD) 방송채널 '유맥스(UMAX)'를 개국한 데 이어 KT스카이라이프가 2일 '스카이(Sky)UHD' 채널을 상용화하면서 UHD 콘텐츠 경쟁 시대가 열렸다.
KT스카이라이프는 이날 오전 서울 목동 KT체임버홀에서 전국 UHD 방송채널인 'SkyUHD 개국 기념식'을 가졌다.
KT스카이라이프의 UHD방송서비스는 위성 특유의 대용량 정보 전달이 가능하고, 전국방송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녔다.
SkyUHD는 24시간 UHD방송채널로, 상용위성인 무궁화6호를 통해 고효율 비디오 코딩(HEVC)방식으로 서비스된다. 서비스 초기엔 전국 UHD TV 대리점을 중심으로 SkyUHD 전용 셋톱박스를 보급할 예정이며, 올해 12월께 가정에서도 합리적인 비용으로 UHD방송을 즐길 수 있도록 보급형 셋톱박스를 출시할 계획이다.
다만 서비스를 본격 시작했지만 서비스 초기 UHD 전용 콘텐츠 수급에는 다소 어려움을 겪을 전망이다.
이남기 KT스카이라이프 사장은 "현재 자체제작 프로그램이 2시간, 국내나 해외에서 구매한 프로그램이 4시간여에 불과해 서비스 초기엔 일일 4시간 순환편성 형태로 서비스할 예정"이라며 "국내나 해외에서 UHD 콘텐츠를 제작하는 이들과 협력해 연내 230시간 분량의 콘텐츠를 확보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 사장은 이어 "2015년까지 총 102억원을 투자해 UHD 스튜디오, 편집시설, 제작전문인력 육성까지 '논스톱 UHD 제작인프라'를 구축하고 UHD 콘텐츠 확보에도 투자할 방침"이라며 "이를 통해 2015년까지 SkyUHD 총 3개의 채널을 론칭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KT스카이라이프는 이날 개국한 SkyUHD1 채널을 풍경, 갤러리 등 '휴(休)채널' 콘셉트 위주로 구성한 후 미드 UHD 콘텐츠 위주의 SkyUHD2 채널과 지상파, PP, 해외사업자 제휴 콘텐츠 위주의 SkyUHD3 채널까지 론칭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지난 4월 10일 상용화를 시작한 유맥스 채널도 서비스가 보급된지 2개월여 지났지만 여전히 콘텐츠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어 꾸준한 투자를 진행 중이다.
특히 유맥스 채널은 티브로드, 현대HCN, CJ헬로비전, 씨앤앰 등 주요 복수종합유선방송사업자(MSO),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등과 연합전선을 통해 꾸준한 콘텐츠 확보에 나서고 있다.
지난해 10월 열린 '인천 전국체전'을 UHDTV 콘텐츠로 제작한 티브로드는 올해 9월 열리는 '제17회 인천 아시안게임' 역시 UHD 콘텐츠로 제작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인천에 17억원 규모의 UHD 제작시스템 구축을 진행 중이다.
현대HCN은 홈초이스와 공동으로 제작한 UHD 방송 콘텐츠를 이달 중 공개할 예정이다.
유맥스는 UHD 콘텐츠 수급을 위해 2016년까지 약 400억원 규모의 투자도 진행한다.
한편 유료방송업계에서는 UHD 시장 활성화를 위해 콘텐츠 수급 확보를 위해 지상파, 제조사 등 투자 및 협력이 잇따라야 한다고 지적했다.
업계 관계자는 "아직은 UHD 시장 선도를 위해 유료방송업계뿐 아니라 지상파, 제조사간 협력이 필요할 때"라며 "케이블TV·IPTV·지상파간 콘텐츠 제작 및 수급을 위해 협력하는 한편, 삼성전자·LG전자 등 제조사가 콘텐츠에 대한 투자도 고려해야 서로 상생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