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서울시교육감에 당선된 조희연(58) 성공회대 교수는 시민운동단체를 이끌어온 진보적인 학자이자 실천적 지식인이다.
조 당선인은 1956년 10월 전라북도 정읍에서 태어나 전주 풍남국민학교, 전북중학교, 서울 중앙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1975년 서울대 사회학과에 입학했다.
중앙고 시절 '씨알사상'의 실천가 함석헌(1901~1989) 선생의 영향을 받은 복음주의 모임인 '겨자씨'에 참여하고 대학 시절 활발한 사회활동을 벌였던 경동교회에 다니면서 사회 비판의식을 키워나갔다.
박근혜 대통령의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의 유신 시절 '긴급조치 9호' 위반으로 1년간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이듬해 1979년 8월 15일 가석방으로 출소해 연세대 사회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받으며 학자의 길을 걸었고 1990년부터 성공회대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조 당선인은 고 박현채 교수와 1980년대 말 '한국사회구성체논쟁'를 정리하면서 이른바 '사구체 논쟁'을 이끌었고, 산업사회연구회, 학술단체협의회 등의 일원으로서 진보적 학문 연구의 흐름을 열었다.
최근에는 민주주의의 급진적 확장을 통해 1980년대 변혁 운동과 1990년, 2000년대의 경험을 종합해야 한다는 변혁 이론을 주창하고 있다.
2012년 출간한 '민주주의 좌파, 철수와 원순을 논하다'는 민주주의가 반독재 투쟁에 머물지 말고 사회경제 분야로 확산해야 박원순·안철수로 대변되는 새로운 정치성과 접합할 수 있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조 당선인은 1994년 당시 박원순 변호사와 함께 참여연대를 만들어 초대 사무처장, 협동사무처장, 집행위원장, 운영위원장을 맡으면서 진보적 시민운동을 펼치기도 했다.
조 당선인은 2011년 4월 긴급조치 9호 위반에 대해 재심을 청구, 지난해 서울 고등법원에서 무죄 선고를 받아 34년 만에 누명을 벗었다.
조 당선인을 지지한 시민들은 그의 인격적 측면을 높이 평가한 것으로 보인다.
둘째 아들이 다음 아고라에 올린 글에서 "아버지로서의 조희연은 누구보다도 제 말을 경청해주시고 언제나 '대화'를 강조하시는 분이었다"며 "제가 어리다고 해서 '어린놈이 뭘 알겠어'와 같은 권위적 태도를 보이시기보다는, 일단 제 의견을 끝까지 들으신 후 차분하고 논리적으로 토론하려는 태도를 보이셨다"고 썼다.
박원순 서울시장 당선인은 조 당선인에 대해 "여태까지 인간 조희연을 싫어한다는 사람을 만나 본 적이 없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