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의 총리 인선이 조금씩 늦춰지고 있다. '인사 검증'에 대한 청와대의 기준이 까다로워졌기 때문이다.
안대희 전 총리 지명자가 전관예우 문제로 지난달 28일 사퇴한 지 9일로 13일째지만 9일 오전 총리 후보자 지명 발표는 나오지 않았다.
청와대 민경욱 대변인은 이날 "총리 후보 검증 작업이 변수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황희 정승이 와도 현재 인사청문회라면 통과 못할 것"이라며 "총리 후보로 거론되던 분 중 많은 사람이 검증 과정이 장애물이 된다"고 밝혔다.
이 언급대로라면 그동안 총리 후보로 거론되던 인사 중 본인들이 고사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국민의 눈높이에 맞는 검증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했다는 관측도 나온다.
다만 박 대통령이 16~21일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키스탄과 카자흐스탄, 투르크메니스탄을 순방함에 따라 늦어도 금주 중에는 후임 총리를 지명할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서는 금주 내 후임 총리 지명에 이어 지명자와 정홍원 총리간 협의를 통해 정 총리가 신임 국무위원 제청권을 행사함으로써 장관 지명까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시간표상으로 후임 총리가 제청권을 행사하기 위해서는 국회 인사청문회가 끝나는 내달 초까지 기다려야 하고, 또 신임 국무위원들이 인사청문회 통과 시점으로 최악의 경우 8월초까지 상정해야 한다는 점에서 국정 공백을 장기화할 수 없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도 "청와대 내에 그런 고민이 있는 건 사실이며, 앞으로 진행 상황은 봐야 한다"며 가능성을 열어뒀다.
총리 지명자가 현 총리와 협의해 사실상 국무위원 제청권을 행사할 경우, 야당과 여론의 반발을 살 수 있다는 점은 변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