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12일 '제7차 한·베트남 차관급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하고 베트남과 과학기술교류 확대에 나선다.
이날 회의에서 양국은 최신 과학기술정책을 상호 소개하고 지난번 공동위 후속조치 점검, 신규 공동연구 추진, 한국과학기술원(KAIST)의 연구성과 사업화 소개, 베트남 과학기술연구소(V-KIST) 사업 진행상황 점검 및 '베트남 연구개발(R&D) 종합정보시스템(VTIS)' 구축협력 등 협력방안을 논의한다.
이번 공동위에는 이상목 미래부 제1차관과 베트남 쩐 비엣 타잉(Tran Viet Thanh) 과기부 차관을 수석대표로 양국 정부 관계자와 연구자 등 20여명이 참석한다.
한국과 베트남은 1995년 과학기술협력협정을 체결하고 2002년부터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하고 있다.
올해에는 양국이 나노기술(NT), 생명공학기술(BT), 환경공학기술(ET), 정보통신기술(IT) 등 4개 분야에서 공동 연구과제를 함께 공모했으며, 이날 회의에서 향후 과제선정 및 지원방안을 협의한다.
또 베트남이 산업구조 고도화를 위한 연구 성과의 산업화에 관심이 큰 점을 감안해 우리나라 대표적인 과학기술특성화 대학인 KAIST의 연구성과 사업화 사례를 소개한다.
특히 KIST를 모델로 V-KIST를 설립하는 'V-KIST 사업'의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향후 협력방안을 협의할 계획이다. V-KIST 사업은 지난해 박근혜 대통령 베트남 순방 시 양국 간 이행약정 체결을 계기로 본격화 되고 있으며, 우리나라가 올해부터 4년간 3500만 달러의 정부개발원조(ODA) 자금을 지원해 연구소를 설립한다.
현재 V-KIST 설립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수립하고 있으며, 하반기부터 설계 등 건설 사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미래부와 베트남 과기부는 V-KIST사업의 성공을 위해 연구 장비 구축, 인력연수, 연구시스템 설계 등 연구 콘텐츠 부분에 중점을 두고 협력해 나갈 방침이다.
미래부 관계자는 "V-KIST 사업과 VTIS 구축 협력 등은 산업구조 고도화에 힘을 쏟고 있는 베트남에 과학한류를 창출해 국내기업과 연구자가 현지에 진출할 수 있는 기반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