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물인터넷(IoT) 시대 조기 활성화 위해 통신사가 앞장서야 한다."
황창규 KT 회장이 11일 중국 상해에서 열린 '모바일 아시아 엑스포(MAE) 2014'에서 '연결을 넘어 가치창조, 기가토피아'를 주제로 기조연설을 하고 IoT 시장 조기 활성화를 위해 통신사들의 주도적인 역할을 강조했다.
황 회장은 "센서 기술의 발달, 스마트 디바이스의 확대, 기가급 모바일 브로드밴드 확산, 클라우드 컴퓨팅과 빅데이터 분석 등 혁신적인 기술 발전으로 더 스마트한 IoT 세상이 오고 있다"며 "정보통신기술(ICT)을 보유한 통신사들이 주도적 역할을 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를 위해 통신사는 강력한 유무선 네트워크,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솔루션 등 보유한 IT 역량을 통합하고 서비스 품질이 보장되는 차별화된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더 많은 디바이스와 서비스가 서로 연동 가능하도록 범용성이 높은 개방형 플랫폼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IoT 활성화를 위해 ▲표준화 ▲글로벌 IoT 데이터 공유 허브 구축 ▲글로벌 IoT 포럼 구성 등 3가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우선 사물에 탑재되는 칩셋 규격부터 사물간 통신 규약까지 다양하게 난립된 규격들을 수용하고 국제적으로 표준화해 기업의 개발비용 절감과 함께 고객들이 보다 쉽고 저렴하게 IoT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다.
중장기적으로는 다양한 종류의 센서 데이터들의 연결과 공유를 통해 교통, 보안, 환경 등 사회문제 해결을 지원하고 나아가 새로운 비즈니스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글로벌 IoT 데이터 공유 허브' 구축도 제안했다. 그동안 대부분 IoT 적용 모델은 센서나 디바이스들로부터 나온 정보들이 제각각 특정 목적에만 쓰이고 다른 곳에는 활용할 수 없는 데이터 사일로 구조로 돼 있어 다양한 데이터 공유를 통한 융합형 비즈니스 창출에는 한계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황 회장은 "IoT 시대가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통신사업자뿐 아니라 창의적 아이디어를 가진 스타트업과의 협력이 필요하다"며 IoT 산업 협력의 장을 마련해 공통된 비전과 표준기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공유할 수 있는 글로벌포럼 출범을 제언했다.
KT경제경영연구소에 따르면 IoT 기술은 다양한 산업에 적용돼 향후 10년간 총 19조 달러의 경제 가치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현재 구글, 애플, 삼성, LG 등 제조 기업에 이어 AT&T, 버라이즌 등 통신기업, 인텔 등 전자부품 기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기업들이 IoT에 적극 투자에 나서고 있다.
한편 통신사 CEO로는 처음 국제 무대에 나선 황 회장은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 주요 임원 및 글로벌 통신사 CEO들과 만나 통신업계의 미래에 대해 함께 고민하는 등 활발한 통신 외교를 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