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남원 실상사서 초대형 고려시대 정원 발견…빼어난 건축양식 '탄사'

실상사에서 발견된 고려시대 정원시설 /불교문화재연구소 제공



전북 남원 실상사에서 국내에서는 유례가 없는 초대형 고려시대 정원시설이 완벽에 가까운 상태로 발견됐다.

조계종 산하 문화재 전문조사기관인 불교문화재연구소는 실상사 담장 바깥 구역 일대를 발굴조사한 결과, 강돌을 바닥에 촘촘히 깐 평면 타원형의 독특한 모습인 연못과 여기에 물을 끌어들이는 입수로, 빼내는 배수로, 건물터 2동을 비롯한 정원시설을 찾아냈다고 11일 밝혔다.

이 중에서 연못인 '원지(苑池)'와 관련 수로 시설은 그 규모와 완벽한 상태, 그리고 아름다운 건축 양식이 빼어나 관심을 끌었다.

길이 16.05m에 폭 8.06m인 연못은 바닥에 강돌을 대체로 한 줄씩 편평하게 깔아 처리하는 한편 주변 '호안석축(湖岸石築)' 또한 같은 종류의 강돌을 쌓아올려서 만들었다. 바닥 중앙에는 다른 강돌과는 달리 청색 빛이 도는 돌을 안치했다.

돌 사이에는 명황색 점토와 숯을 이용해 방수처리를 했지만 내부에서 뻘층이 확인되지 않는 점으로 보아 맑은 연꽃 같은 식물을 기르지는 않았다고 추정된다.

이곳으로 물을 끌어들이는 입수로는 현재까지 발견된 규모만 길이 42.6m 구간에 이른다. 폭 1.2m이며 강돌을 바닥에 깔고 측면에 쌓는 방식으로 만들었다.

이런 수로 형태는 중국이나 일본의 고대 정원 시설에서는 신라 포석정과 마찬가지로 술잔을 띄워놓고 시를 읊던 연회인 '곡수연(曲水宴)'과 관련 깊은 것으로 알려져 비상한 관심을 끈다. 이 곡수 형태의 수로는 길이 13.8m에 폭 1.0m였다.

조사단은 "이번에 발견한 원지는 그것이 위치하는 방향성을 고려할 때 실상사 경내에 위치한 고려시대 초기 목탑 터와 동서방향 축이 일치한다"면서 "나아가 이 일대에서는 고려 초기 유물이 집중 출토하는 점으로 보아 이 정원시설은 실상사 경내 목탑과 거의 같은 시기에 만들었다고 생각된다"고 말했다.

이번 발굴에서는 연화문 수막새, 초화문 암막새, '實相寺'(실상사)라는 글자가 적힌 기와를 비롯한 각종 유물 100여 점이 수습됐다.

이번 발굴 지역은 현재의 실상사 담장 바깥이라는 점에서 고려시대 실상사는 규모가 지금보다 훨씬 넓은 거찰이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번 발굴 현장은 16일 오후 2시 전문가 검토회의 개최에 즈음해 일반에도 공개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