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악마'하면 뜨거운 함성과 빨간티의 행렬로 전국민을 하나로 만든 길거리 응원을 떠올리게 된다.
전세계를 열광케 한 월드컵 길거리 응원은 1988년 프랑스 월드컵에서 시작됐다. 프랑스월드컵 조별예선 첫 경기 멕시코전을 앞두고 PC통신의 축구 동호회에서 국가대표팀에게 조직적인 응원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만들어졌으며 '그레이트 한국 서포터즈 클럽'이라는 임시 이름으로 응원했다.
이후 '붉은악마'라는 명칭은 1997년에 회원들의 회의를 통해 확정됐으며 당시 세계를 경악케 한 것처럼 대표팀이 세계 축구 정상에 오르길 염원하는 뜻이 담겨있다.
붉은악마는 1997년 8월 10일 열린 한국과 브라질의 친선 경기에 처음으로 붉은색 대표팀 유니폼을 입고 서포팅을 시작했다. 이 시기는 외환위기로 수많은 기업이 무너졌고 하루 아침에 직장을 잃고 가족이 뿔뿔이 흩어졌지만 국민들은 광장으로 자연스럽게 모여들었다.
2002년 한·일 월드컵 때 경기장에 못 간 시민들이 서울광장에 자발적으로 모이면서 서울광장과 광화문 일대는 붉은 악마들과 시민들로 붉게 물들였다.
이후 전국으로 확산됐으며 해외에서 벌어지는 국가대표 경기 때도 자연스럽게 모여들면서 하나의 문화로 정착됐다.
이렇게 거리응원의 규모가 커지자 국제축구연맹(FIFA)은 월드컵 공식 후원사 보호라는 명분하에 공공장소에서 월드컵 경기를 상영할 경우 FIFA에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 '공공장소 전시권'을 도입했다.
이와함께 2006년 독일월드컵을 앞두고 상업적으로 변질됐다는 비판여론에 향후 특정기업과 후원계약을 하지 않겠다는 신 붉은악마 선언을 발표했다.
2010년에도 기업의 상업적 거리응원이 극에 달했다.
붉은악마는 서울광장이 거리응원 후원 기업 주도의 응원전이 될 것을 우려해 불참하려했으나 서울시의 중재로 기업들의 '비상업적' 이용을 전제로 서울광장 거리응원이 진행됐다.
이번 2014 브라질 월드컵은 세월호 참사 분위기 속에 월드컵 때와는 사뭇 다른 길거리 응원이 펼쳐질 예정이다.
세월호 합동분향소가 있는 서울광장의 거리응원은 피하면서 '조용한 거리 응원' '치유 응원' 등을 지향할 것으로 보인다.
또 노란 수건, 노란 현수막 등의 의견도 나오면서 월드컵 속에서도 애도의 분위기는 잃지 않으려는 국민들의 의식이 담겨 한층 성숙한 응원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