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2기 내각'이 출범 전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박 대통령이 세월호 정국 이후 인적쇄신 차원에서 단행한 2기 내각의 주요 인사들이 청문회 문턱에 오르기도 전에 이른바 '지상 검증'을 통한 각종 의혹과 논란에 휩싸였기 때문이다.
논란의 중심에 있는 문창극 총리 후보자는 자신의 과거 교회 및 대학 강연, 칼럼 등에서 보인 '역사인식 논란'으로 곤욕을 치르고 있다. 17일 오후 문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청서 국회 제출을 앞두고 야권은 "자진 사퇴" "지명 철회"를 요구하며 정부와 여권을 압박했다.
새누리당 비주류인 친이(친이명박)계 좌장격인 이재오 의원 조차 16일 여권의 문창극 총리후보자 인준 강행 기류와 관련해 "다수 국민이 아니다 하면 아닌 것이고 고집 부릴 일이 아니다"면서 "나라를 더 이상 어지럽게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어차피 안될 일을 갖고 시간을 끌수록 청와대에 대한 불신만 가중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 후보자 외에 김명수 교육, 정종섭 안전행정 등 장관 후보자와 청와대 송광용 교육문화수석을 둘러싼 논문관련 의혹도 터져나왔다.
김 후보자의 경우 2002년 6월 발표한 '자율적 학급경영방침 설정이 아동의 학급생활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논문이 김 후보자의 제자인 정모씨가 같은해 2월 쓴 석사학위 논문과 제목 및 내용에서 상당부분 일치했다. 김 후보자는 학술지에 논문을 내면서 자신을 1저자로, 제자 정씨를 2저자로 게재했다.
정 후보자는 논문 중복게재가 의심됐다. 실적 부풀리기를 위해 셀프표절을 한 게 아니냐는 의혹이다. 2006년 학술지 '법과 사회'에 발표한 '탄핵제도와 헌법디자인' 논문이 2005년 게재한 자신의 논문 '탄핵심판에 있어 헌법재판소의 탄핵여부 결정권'과 내용과 문장이 상당 부분 겹친다는 사실이다.
송 수석은 제자가 쓴 논문을 학술지에 게재하면서 자신을 1저자로 등재해 연구성과를 가로챘다는 의혹이 불거졌다.
야권에서는 청와대의 인사검증 시스템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세월호 사태 이후에도 유임이 결정된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은 민정수석실을 관장하는데다 청와대 인사위원장을 겸하고 있어 이번 부실 인사에 대한 최종 책임을 져야 할 것이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