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의 18일 정치·외교·통일·안보 분야 대정부질문에서 여야는 과거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거취를 놓고 날선 공방을 벌였다.
새누리당은 인사청문회를 열고 국민에게 판단의 기회를 주자고 주장했고, 야당은 문 후보자의 총리 지명 철회 및 자진 사퇴를 강하게 밀어부쳤다. 특히 인사 실패 책임을 물어 김기춘 청와대 비서실장의 해임을 압박하고 나섰다.
새누리당 김도읍 의원은 이날 미리 배포한 자료에서 "문 후보자를 둘러싼 여러 문제 제기는 법에 보장된 절차와 과정에서 철저히 규명하고 판단은 국민께서 하면 된다"며 "임명동의안을 제출도 하지 말라는 것은 법을 무시하고 국회의 책무를 포기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같은 당 이장우 의원은 "세월호 참사 이후 나라 전체가 망연자실한 채 비정상적 국정 운영이 두 달째 계속되고 있다"며 "서로에게 책임을 전가하기보다는 정치권 모두의 책임을 통감하고 새로운 대한민국 디자인을 위한 발걸음을 재촉해야 한다"고 말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서영교 의원은 문 후보자 지명을 "제2의 경술국치"라며 자진 사퇴를 촉구했다.
서 의원은 "친일파 대통령에 친일파 총리 지명은 드러내놓고 친일파 내각을 세운 것으로 이는 제2의 경술국치에 다름없다"며 "문 후보자가 자진 사퇴 의사가 없다면 정홍원 총리가 대통령께 임명 철회를 요청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성곤 의원은 "이번 문 후보자 인사를 보면서 박 대통령이 말로는 국민 통합을 외치지만 진보는 악이요, 보수는 선이라는 이분법적 사고를 여전히 벗어나지 못한 분이라는 확신을 했다"고 말했다.
원혜영 의원은 "안대희 후보자에 이어 문 후보자까지 그야말로 인사 참사를 지켜본 국민은 도대체 청와대 인사검증 시스템이란 게 있기는 한 건지 한심해 하고 있다"며 정 총리에게 "마지막 소임이라 생각하고 충심으로 김기춘 실장의 해임을 건의하라"고 요청했다.
이날 여야는 한목소리로 '소통'과 '화합'을 촉구했다.
김도읍 의원은 "대통령께서 야당 목소리를 듣지 않는다는 지적이 더는 나와서는 안 된다"며 "김한길 새정치연합 대표가 제안한 '영수회담'도 국민의 목소리를 듣는 '소통의 장'으로 활용한다면 극한 대립을 막고 국론을 하나로 모으는데 일정 역할을 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제안했다.
새정치민주연합 김성곤 의원은 "박 대통령이 앞으로 문 후보자가 낙마하면 야당에 총리의 추천을 의뢰하는 대연정을 제안하면 어떨까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