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청와대

문창극 임명동의안 '뜸들이기'…정치적 부담·'자진 사퇴'시키려는 포석



중앙아시아를 순방 중인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문창극 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청서의 재가를 21일 귀국 이후에 검토하겠다고 방침을 정했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18일 박 대통령의 이런 방침을 우즈베키스탄 수도 타슈켄트에서 이 나라 제2의 도시인 사마르칸트로 출발하는 비행기 안에서 갑작스럽게 발표했다.

민 대변인은 "순방 일정에 집중하기 위해서"라는 이유를 들었지만 설득력이 떨어진다. 청와대는 전날 임명동의안 국회 제출을 미룬 것에 대해 우즈베크 정상회담이 길어져서 전자결재의 시간을 놓쳤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의지만 있다면 우즈베크 시간으로 18일 아침 일찍 결재를 할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미룬 것은 기술적인 문제가 아니라 정무적 판단이 필요했을 것이라는 관측을 낳는다.

그동안 문 후보자가 총리로 내정된 이후 야권은 물론 종교·교육·시민단체는 그의 그릇된 가치관과 역사 인식을 문제삼아 "자진 사퇴" "지명 철회"를 요구해왔다.

인사청문회를 통해 판단하자고 주장하던 새누리당 내부에서 조차 사퇴론이 고개를 들었다. 친이계 좌장 이재오 의원의 발언을 시작으로 친박계 좌장 서청원 의원까지 자진 사퇴를 촉구했고, 18일 국회 대정부질문에 나선 정홍원 국무총리마저 "여러 주위 상황에 대해 본인이 잘 판단하리라 본다"며 정부도 한 발 물러나는 듯한 의사를 밝혔다.

결국 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국내에서 상당한 논란을 빚고 있는 문 후보자의 임명동의안을 재가할 경우 이후에 벌어질 각종 시나리오와 그에 따른 정치적 파장에 대해 숙고의 시간이 필요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또 박 대통령이 직접 내정한 문 후보자를 지명 철회하는 것은 정치적으로 부담이 되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문 후보자에게 자진사퇴를 권유한 게 아니냐는 관측도 있다. 여당 내에서도 부정적 기류가 확산하고 있어 문 후보자가 국회 인사청문회에 임하더라도 본회의 인준 표결 통과를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