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이 21일 밤 중앙아시아 순방을 마치고 귀국할 예정인 가운데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의 임명동의안 및 인사청문요청서를 어떻게 처리할 지 향후 거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박 대통령은 지난 16일 출국해 우즈베키스탄을 시작으로 카자흐스탄·투르크메니스탄까지 중앙아시아 3개국을 순방하고 주말인 21일 서울에 도착할 예정이다. 당초 순방 중 '전자결재' 방식을 통해 문 후보자의 임명동의안과 인사청문요청서를 재가해 국회에 제출할 계획이었으나, 새누리당 내에서조차 비판 여론과 함께 청문회를 거치더라도 국회 인준이 어렵다는 전망이 확산하자 18일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을 통해 "귀국 후 재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여권과 청와대에서는 지지율 하락등 여론이 악화되고 있는점을 감안, 박 대통령이 임명동의안 서명을 순방 뒤로 연기한 것에 대해 사실상 '문창극 카드'를 접는 수순으로 해석하고 있다.
이와관련 새누리당 당권 주자인 서청원 의원은 20일 친일 사관 논란에 휘말린 문창극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해 “국민이 원하는 총리가 아니라는 것은 알아야 한다”며 자진 사퇴를 거듭 압박했다.
서 의원은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해 “국민은 문창극 후보를 총리로 원하지 않는 것이 분명한 것 같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러나 문 후보자가 자진 사퇴할 생각이 없음을 내비치면서 박 대통령의 귀국 후 결정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
일각에선 박 대통령이 불가피하게 지명철회 수순을 밟을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으며 늦어도 23일에는 문 후보자의 거취가 결정될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전망이다.
또 박 대통령이 순방 기간 각종 의혹과 논란이 불거진 일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해 어떤 결정을 내릴지도 관심이다. 박 대통령이 '귀국 후 재가 검토' 방침을 밝히면서 그 대상에 문 후보자뿐만 아니라 2기 내각 개편 때 지명한 장관 후보자도 포함시켰기 때문이다.
김명수 교육부 장관 후보자와 정종섭 안전행정부 장관 후보자는 '제자 논문 가로채기' '자기 논문 표절' 등 논문 관련 의혹이 잇따라 터졌고, 이병기 국가정보원장 후보자의 경우 2002년 검찰의 정치자금 수사 당시 약식기소돼 1000만원의 벌금을 낸 것이 확인되면서 야당의 거센 사퇴 공세를 맞고 있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