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창조과학부는 6.25 사이버 테러 1년을 기해 사이버공격 발생 가능성에 대비, 국가 주요시설, 기업 등에 대한 자체 보안조치 및 모니터링 강화를 당부했다.
미래부는 주요 통신사업자의 경우 디도스(DDoS) 공격 발생, 웹하드·웹호스팅 업체는 악성코드 유포, 홈페이지 변조 등 보안관리 강화, 백신사 등 보안업체에 대해 신규 악성코드 발견 시 신속히 정보공유 할 것을 24일 요청했다. 주요 정보통신 기반시설에 대해서도 관련 정보통신기술(ICT) 시스템의 긴급점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앞서 미래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주요 통신사업자, 백신사, 포털, 웹호스팅, 방송사 등과 공동으로 지난 18~19일 위기 대응 모의훈련을 실시해 사이버 위협에 대해 신속한 대응능력 및 관계기관간 협력체계를 점검한 바 있다.
아울러 KISA 인터넷침해대응센터는 평시보다 인터넷 침해사고 모니터링 체계를 대폭 강화해 24시간 사고대응 체제 운영, 주요 홈페이지 이상 유·무, 악성코드 은닉여부 집중점검, DDoS 공격 실시간 모니터링 등을 통해 사이버 공격이 발생하면 즉각 대응할 방침이다.
중소기업 등은 DDoS 공격에 대비해 사이버대피소(1666-9764)에 사전등록하면 DDoS 공격의 신속한 차단이 가능하며 피해예방, 피해신고 방법 등 자세한 안내 등을 받을 수 있다.
또 국민들 역시 ▲백신 프로그램 업데이트 및 실행 ▲출처가 불분명하거나 첨부파일이 의심스러운 이메일, 메시지(SMS)는 삭제할 것 ▲비밀번호는 영문, 숫자 및 반드시 특수문자 등을 조합해 8자리 이상으로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변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래부는 사이버공격이 발생 시 국번없이 118번이나 보호나라(www.boho.or.kr)로 즉각 신고해 달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