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택의 생사 여부가 이동통신 3사의 손에 달렸다.
25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채권단은 24일 팬택 경영정상화를 위한 협의회를 열고 기존에 제시된 지원 방안을 그대로 의결했다.
이날 확정된 팬택 경영정상화 지원 방안은 채권단이 3000억원을 출자전환하고, 팬택으로부터 지급받아야 할 판매장려금 등 채권이 있는 이통3사도 1800억원 규모로 출자전환에 동참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이밖에 2018년 말까지 채권단의 원금 상환을 유예하며 이자율도 담보채권은 2%, 무담보채권 1%, 기존 주식 10대 1 무상감자도 계획 중이다.
결국 핵심은 이통3사의 출자전환 동참 여부에 달린 셈이다. 이를 놓고 이통3사는 심각한 고민에 들어갔다. 실제 팬택의 워크아웃 지속 결정시한이 다음달 4일이기 때문에 이통3사도 서둘러 입장을 정리해야 한다.
만일 이번 개선방안이 무산될 경우 팬택은 법정관리로 들어갈 가능성이 크다. 팬택이 파산할 경우 이통3사로써는 팬택 재고 휴대전화 물량 처분도 고민이 될 수 밖에 없다. 파산 시 향후 팬택 단말기에 대한 애프터서비스(AS) 지원 등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재고 처리도 그만큼 힘들어지는 것이 사실이다. 현재 이통3사가 보유한 팬택 재고 휴대전화 물량은 70만대 수준으로, 개별 단말기 평균 출고가를 70만원 기준으로 할때 5000억원에 달하는 금액이다.
한 이통사 관계자는 "팬택 매출채권에 대한 출자전환을 지속 검토하고 있지만 여러 이해관계가 얽혀 고민이 길어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며 "여러가지 상황을 고려하고 내부적으로 협의를 통해 이른 시일내에 결론지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업계에선 수십만대의 재고물량 처리 외에도 국내 휴대전화 제조사가 팬택을 제외하면 사실상 삼성전자와 LG전자 두곳으로 재편되는 만큼, 단말기 수급에 있어 부담을 가질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이통사가 출자전환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이 강한 상황이다.
팬택측은 기업회생을 위해 정부의 다각도 지원도 이뤄져야 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박창진 팬택 부사장은 24일 서울 더케이호텔에서 열린 '단말기 보조금 상한 정책방안 토론회'에서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에 처한 기업이 순기능을 할 수 있도록 배려가 필요하다"며 "경영난으로 워크아웃 같은 특수상황에 처한 기업은 보조금 상한 규제에서 제외되도록 배려해달라"고 정부에 요구하기도 했다.
금융당국도 팬택 채권에 대한 출자전환이 이뤄지면 신규 자금지원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여느 때보다 이통3사의 결정에 쏠린 눈이 많은 상황이다.
과연 팬택 살리기를 두고 이통3사가 어떤 결정을 내릴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