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국내상장사, 세무·컨설팅료 비율 미국의 5배…"외부감사 의존도 낮춰야"

국내 외부감사인이 세무나 경영컨설팅 등의 명목으로 상장기업으로부터 받는 비감사 용역보수 비율이 미국의 5배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장사의 외부감사인 의존도를 높이고 감사품질은 오히려 저하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2013년 비감사 용역보수를 지출한 상장사는 총 478곳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상장회사 1726곳 대비 28%에 해당하는 규모다.

이들 상장사는 지난해 감사 보수로 862억원, 비감사 용역보수로 417억원을 지출함에 따라 약 48%의 비감사용역보수비율을 기록했다.

비감사용역보수비율은 지난 2011년 48.7%에서 2012년 68.7%로 급등했다가 2013년 48.4%로 예년 수준으로 돌아왔다. 최근 3년 평균은 54.9%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2012년에는 일부 대형사의 인수·합병(M&A), 해외 자회사 설립 등과 관련한 거액의 비감사용역보수가 일시 지출됐다"며 "한 보험사의 경우 다른 회사 인수와 말레이시아 은행 설립, 인도네시아 생명보험사 인수 등에 대한 자문용역으로만 25억원을 썼다"고 설명했다.

같은 상장사라 하더라도 국내에 상장했을 때와 미국에 상장했을 때의 비감사용역보수 비율이 큰 차이를 보였다.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동시 상장된 신한금융지주·포스코·우리금융지주·SK텔레콤·KB금융지주·LG디스플레이 등 국내 기업 6곳의 비감사용역보수비율은 최근 3년 평균 11%로 국내 상장사(54.9%)의 5분의 1 수준에 그쳤다.

미국 상장 국내 기업의 비감사용역보수비율은 지난 2011년 8%에서 2012년 17.6%로 뛰었다가 지난해 11.1%로 소폭 내렸다.

금감원은 국내 기업의 외부감사인 의존도가 미국보다 현저히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국 회사는 내부감시기구인 감사위원회 등을 통해 외부감사인으로부터 비감사용역을 받는 것을 엄격히 견제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근 유럽연합(EU) 의회가 오는 2016년부터 비감사용역보수를 감사보수의 70% 이내로 제한하는 등 국제적으로 비감사용역보수 관련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에 있다"며 "이런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하면 우리나라 감사품질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생길 수 있으므로 향후 감사·비감사 보수와 감사 품질 등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해 대응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