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되는 시위로 생활을 할 수가 없네요. 우리는 어디에 하소연해야 합니까."
"시민을 볼모로 자신들의 피해만 주장하는게 아닌가요?"
금속노조 삼성전자서비스지회가 지난달 17일부터 서울 서초동 삼성전자 사옥 앞에서 한달이 넘게 무기한 노숙시위를 벌이고 있다. 이 때문에 매일 강남역 인근에선 시민의 출퇴근길이 더욱 복잡해졌고, 노조가 확성기를 설치한 차량을 통해 민중가요 등을 틀어놔 이곳을 지나는 시민의 귀를 따갑게 하고 있다.
며칠 전 출근길 삼성전자 사옥 앞을 청소하던 한 청소원은 "이제 그만 좀 했으면 좋겠다"고 토로했다. 자신도 어려운 처지에서 바쁘게 생활하고 있는데 노조에서 살포한 각종 불법 부착 스티커와 유인물로 인해 더욱 힘들어졌다는 것이다.
이처럼 한달이 넘게 진행된 시위로 인해 강남역 인근에서 근무를 하고 있는 직원들과 이곳을 생활터전으로 하는 시민들은 "내가 더 죽겠다"고 말한다. 직장인들은 출근해서도 계속 들리는 소음으로 인해 업무에 지장이 생긴다고 말하고, 노조 시위로 인해 동원된 수백명의 경찰들까지 통제에 나서면서 이 곳을 상권으로 하고 있는 이들마저 피해를 입고 있다는 것이다.
삼성전자서비스 노사간 교섭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 같은 장기적 시위가 득이 될 것인지도 의문이다. 특히 삼성전자 사옥 앞에서의 시위는 삼성전자서비스가 아닌 삼성그룹과 삼성전자를 상대로 사측을 압박하기 위한 카드로만 비춰진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삼성그룹이나 삼성전자에서 해결의 실마리를 제시해 줄 수 없다는 것이다. 이들 노조의 시위가 법적으로 삼성전자의 교섭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노조는 정치판을 동원해 삼성전자를 압박하고 있다. 실제 새정치민주연합 을지로위원회가 직접 나서 이인용 삼성전자 사장을 비롯한 삼성 관계자들과 논의를 통해 이번 삼성전자서비스노조 사태 해결을 위한 공개 논의를 제안했다.
이에 대해 이인용 사장 역시 이들의 주장을 이해하고 있지만 삼성전자가 협상의 주체가 될 수 없음을 분명히 했다.
26일부터 노사간 협상이 재개된 가운데 이 같은 모습은 현명한 것이 아니다. 각종 사건·사고로 어수선한 지금의 대한민국에서 시민을 볼모로 협상에 나서는 노조의 모습은 오히려 국민에게 비난 여론만 들쑤실 뿐이다. 성숙한 노조의 시위문화 정착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