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건/사고

"해파리 조심하세요"…제주 해수욕장서 잇따라 사고

라스톤입방해파리



지난해 제주도내 해수욕장에서 물놀이객 258명이 해파리에 쏘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지방해양경찰청은 지난해 여름철 제주지역 해수욕장에서 200여 건의 해파리 쏘임 사고가 발생, 258명이 다쳤다고 28일 밝혔다.

해수욕장별로는 이호 85명, 함덕 77명, 김녕 63명, 협재·중문 각 11명, 삼양 3명, 금릉·월정·표선 각 2명, 곽지·화순 각 1명 등이다.

해파리 쏘임 사고는 대부분 피서철이 절정을 맞는 8월에 났다. 258명 중 247명이 8월에 쏘였다. 6월에는 3명, 7월에는 8명이 쏘였다.

2012년에도 중문해변에서 94명, 화순해변에서 15명이 해파리에 쏘이는 등 도내 해수욕장에서 해파리 쏘임사고가 계속되고 있다.

제주에서 사람을 쏜 해파리는 작은 부레관 해파리, 입방 해파리, 노무라 입깃 해파리 등 맹독성·강독성이 많았다.

올해도 초여름부터 해파리 쏘임 사고가 잇따르고 있다. 26일 오후 2시께 제주시 한림읍 협재해수욕장에서 김모(25)씨 등 물놀이객 7명이 해파리에 쏘였다. 같은 날 오후 5시 20분께는 인근의 한림읍 금릉으뜸원해변에서 5명이 해파리에 쏘였다.

해파리에 쏘이면 쏘인 곳이 빨갛게 달아오르며 고통이 오고 심하면 부종, 발열, 근육 마비, 호흡 곤란, 쇼크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다.

해파리에 쏘였을 때는 물에서 나와 쏘인 부위에 바닷물을 흘려 씻어낸 뒤 장갑을 끼고 촉수를 제거하거나 플라스틱 카드 등으로 독침 반대 방향으로 쏘인 부위를 긁어 독성을 제거해야 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