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별들의 전쟁'이 펼쳐질 것으로 예상됐던 7·30 재·보선의 판이 미묘하게 흔들리고 있다.
최대 격전지인 서울 동작을의 유력후보였던 김문수 전 경기지사가 이번 선거에 출마하지 않기로 마음을 굳혔고, 울산 남구을에 도전했던 이혜훈 전 최고위원은 공천신청을 철회하는 등 새누리당에서 이상기류가 감지됐기 때문이다.
평택을에 공천을 신청했던 임태희 전 청와대 비서실장은 아예 심사에서 탈락했다. 3선 의원 출신으로 이명박 정부 시절 청와대 비서실장, 고용노동부 장관을 지낸 그가 선거에 패할 경우 현 정부심판론이 증폭되면서 타격이 커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서는 여권이 '조용한 선거'로 재보선 관심도를 떨어뜨리려는 게 아니냐는 관측도 내놓고 있다.
하지만 전국적 인지도를 갖춘 나경원 전 의원의 경우 출마 의사가 강하고, 오세훈 전 서울시장도 여전히 유효한 대안이라 수도권 '빅카드' 출격 가능성은 유효하다.
다만 전략공천 대상으로 이름을 올리는 이들 후보군이 대부분 옛 친이(친이명박)계 비주류 그룹이라는 점에서 친박계 내부에선 불만도 감지된다. 현재 새누리당은 참신한 신인 1~2명의 '발탁'을 고려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새정치민주연합은 이러한 여당의 흐름을 예의주시하며 재보선 전략 수정 여부를 고심하고 있는 분위기다.
수원 팔달 출마 쪽으로 흐름이 잡히고 있는 손학규 상임고문 정도를 빼고는 후보추천장을 순탄하게 거머쥘지 예단하기 힘든 모양새다.
동작을 등을 염두에 둔 정동영 상임고문도 지도부의 결단을 기다리고 있고, 경기 김포을에 출전한 김두관 전 경남지사도 '전략공천 티켓'을 무난히 확보할지 다소 불투명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