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택의 회생절차를 둘러싸고 채권단과 이동통신3사간 기싸움이 이어지면서 서로 책임을 떠넘기기식 행태를 보여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8일 업계에 따르면 팬택 채권단은 이통3사가 출자전환 참여 여부를 놓고 명확한 대답을 내놓지 않은 채 시한을 보내자 출자전환 참여 동의 시한을 연기하기로 했다.
팬택 주채권은행인 산업은행은 이날 "채권단은 이통3사에 팬택 정상화방안에 대한 동참의사를 8일까지 제출해줄 것을 통보했으나, 협조를 이끌어내기 위한 추가적인 기간 부여가 필요하다는 팬택의 요청을 감안해 이통3사의 답변을 받을 때까지 제출시한을 연장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 4일 팬택의 경영정상화 방안을 가결하며 이통3사 출자전환 참여 동의 시한을 8일까지로 한차례 연기했던 채권단은 이날 연거푸 시한 연기에 나선 것이다.
특히 이번 제출시한 연장에 있어 주목할 부분은 날짜가 정해져 있지 않다는 것이다. 당초 14일까지로 명시할 것으로 예상됐으나 이마저도 '이통3사 답변을 받을 때까지'로 했다. 사실상 무기한 연장인 셈이다.
채권단 관계자는 "14일까지로 명시하면 또다시 논의 과정에서 재차 연장 가능성이 있을 수 있어 아예 날짜를 지웠다"며 "이통3사의 입장이 나오면 어떤 결정이든 내려질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통3사는 채권단의 이 같은 결정이 책임을 떠넘기려는 이기적인 것이라며 불만을 나타냈다.
이통사 관계자는 "채권단의 팬택 출자전환 참여 동의 시한 연장은 우리가 원해서 진행된 것이 아니다"라며 "우리도 '팬택 살리기'를 위해 다각도로 논의하며 검토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결국 핵심은 팬택이 이번 위기를 넘기더라도 살아남을 수 있느냐 하는 것"이라며 "여기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우리도 주저할 수 밖에 없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다른 이통사 관계자 역시 "최근 채권단의 모습을 보면 이통사에 협조를 위한 직접적인 대화를 이끌어내기보다 언론플레이를 통해 압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팬택에 최악의 상황이 벌어지면 결국 채권단은 자신들이 아닌 이통사에 책임을 떠넘기려는 것이 아니겠느냐"고 역설했다.
한편 이 같은 채권단과 이통3사의 책임 떠넘기기 행태 속에 이번 채권단의 결정으로 팬택 '운명의 날'도 언제가 될지 모르게 됐다. 업계에선 14일에는 결정이 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채권단 측은 팬택이 법정관리에 들어가기 전까지 지속적으로 이통사를 설득하겠다는 입장을 내비치며 더 늦어질 수 있다는 분석마저 나온다.
과연 팬택의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