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드릴 수 있도록 정책의 '길목'을 지켜 심화, 발전시켜나가겠다."
김희정 신임 여성가족부 장관은 18일 연합뉴스와 취임 인터뷰에서 향후 여가부 정책의 방향에 대해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김 장관은 "새일센터의 혜택을 받은 경력단절여성과 폭넓게 소통해 평생 지원의 고리를 만들어나가는 것, 아이돌보미 서비스의 질은 높이면서 가격을 현실화하는 것, 성폭력 범죄에 대한 솜방망이 처벌을 개별적으로 비판하기보다 양형 기준표 자체를 고치려 노력하는 것 등이 '길목 지키기'의 사례"라고 설명했다.
또 김 장관은 "주변 학생들로부터 여가부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니 그냥 '게임 못하게 하는 부처'라고만 생각하더라"면서 "그게 아니라 청소년을 위하는 일을 많이 하는 부처라는 점을 알려주고 싶다"라고 강조하며 청소년 정책을 강화할 것을 시사했다.
그는 "학교 안에서는 학생이지만 나오면 청소년이다. 학교가 파한 시간에 청소년에게 사실 손길이 더 많이 필요하다"면서 "교육부보다 오히려 여가부의 영역이 더 넓다고도 할 수 있다"라고 역설했다.
이와 함께 김 장관은 여가부 업무의 양과 범위에 비해 부족한 예산과 인력을 극복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우리 예산으로 다 하겠다는 생각은 아니다. 우리가 시작해서 잘 되는 것을 다른 부처에 넘기면 전 부처의 여가부화가 가능하지 않겠나"라고 자신했다.
그는 이어 "예를 들어 여성 경력 단절의 큰 이유가 육아휴직을 쓰기 어려운 현실 때문인데, 생각을 전환해 기본적으로 육아휴직을 사용하되 예외적으로 쓰지 않는 방향으로 제도를 바꿀 수 있을 것"이라며 "여가부 장관에게 결정 권한은 없더라도 사회적 합의를 만들어 나가는 역할은 충분히 할 수 있다"라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최연소 장관이자 여성 국무위원으로서 김 장관은 "젊은 층의 목소리를 대변해야 한다. 또 여성 국무위원이라는 점도 중요하다"라면서 "공직자, 장관, 국무위원으로서 무거운 책임감을 느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