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성보험 수수료·금리구조 챙겨야
'금융감독원과 함께하는 금융 이야기' 이번주 주제는 저축성 보험에 가입하기 전 알아둬야 할 사항입니다.
저축성 보험은 노후 준비와 목돈 마련을 위해 주로 가입하는 금융 상품입니다. 은행 예·적금과 비슷해 혼동하기 쉽지만 엄연한 보험상품이므로 가입할 때 수수료와 금리 산정 구조 등을 잘 살펴 가입해야 합니다.
1. 보험 상품이므로 예·적금과 달리 각종 수수료 비용이 원금에 포함됩니다.
은행 예·적금은 납입한 원금 전체에 은행이 정한 이자가 붙어 만기 지급됩니다.
반면 저축성 보험은 납입한 원금에서 위험보험료와 계약 체결·유지비(사업비)를 차감한 금액에 이자가 붙습니다.
사망이나 입원, 수술과 같은 불의의 사고 위험에 대비하는 보장성 보험의 성격을 동시에 갖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저축성 보험에 가입하기 전에 어떤 위험이 보장되는지와 함께 금융사별·상품별 사업비 수준을 상품요약서와 보험협회 공시실을 통해 잘 확인해 적절한 상품을 선택할 필요가 있습니다.
상품요약서를 확인하려면 보험사 인터넷 홈페이지→(상품)공시실→상품목록(판매중)→상품별 상품요약서(수수료 안내표)를 참조하면 됩니다.
또는 보험모집인이 보험계약 체결 권유시 개별 계약자의 가입조건에 따라 제공하는 가입설계서의 수수료 안내표를 참고해도 됩니다.
2. 금리연동형에 가입했다면 공시이율 변동추이와 최저보증이율을 확인해야 합니다.
저축성 보험은 이자율 적용방법에 따라 만기까지 이자율이 변동되지 않는 금리 확정형과 이자율이 주기적으로 변동되는 금리 연동형으로 나뉩니다.
즉시연금보험 등 대부분의 저축성 보험 상품은 금리 연동형이므로 가입 전에 상품 유형을 확인해야 만기 지급액을 혼동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금리 연동형은 금융회사가 매달·매분기·매년 등 일정 주기별로 변동이자율을 공시합니다.
금리 연동형의 공시이율 적용주기와 변동추이, 공시이율 수준별 예상상품 수익률을 확인하려면 보험회사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됩니다.
보험협회 인터넷 홈페이지의 공시실에 접속하면 1~5개의 상품의 공시이율과 예상 상품수익률을 비교해볼 수 있습니다.
(생명보험협회(www.klia.or.kr)→공시실→상품비교공시→저축성보험 비교공시(금리연동형저축성보험)
/손해보험협회(www.knia.or.kr)→공시실(상품비교공시)→장기저축성보험 수익률→보험종목 선택→비교공시표 보기)
또 금리 연동형은 시중금리 하락으로 공시이율이 떨어져도 일정 수준의 보험금을 보증하기 위해 최저보증이율을 정해놓고 있습니다.
상품별로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계약 경과기관에 따라 10년 이내는 2.5%, 10년 초과는 2.0% 수준입니다.
3. 가입 후 여유자금을 추가로 납입할 수 있습니다.
저축성 보험에 가입한 뒤 여유자금이 생겼다면 추가납입제도를 통해 보험료를 추가로 납입할 수 있습니다.
단 상품별로 정한 한도에 따르며 기본보험료 납입 한도의 2배를 넘지 않아야 합니다. 또 해당 월의 기본보험료를 낸 경우에 한해 적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