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올해 2분기 영업손실이 8130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고 29일 공시했다. 2분기 영업이익은 8300여명의 명예퇴직자 발생으로 인한 약 1조원 규모의 명예퇴직 비용이 일시 지급됨에 따라 영업손실이 발생했다.
다만 KT측은 3분기부터는 무선사업 턴어라운드 본격화, 사업합리화 및 명예퇴직 등으로 인한 비용절감 효과가 가시적으로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조8955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했다. 당기순손실은 7572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적자전환했다.
사업별로 살펴보면 무선분야는 30만명의 순증가입자를 달성하면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한 1조7988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말 LTE 가입자 비중은 56.1%로 941만명의 가입자를 달성하며 가입자당 평균 매출액(ARPU)은 전년 동기 대비 6.3% 늘었다.
유선분야 매출은 유선저놔 가입자와 통화량 감소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한 1조4080억원을 기록했다. KT는 초고속인터넷이 갖고 있는 안정적 가입자 기반을 토대로 IP기반 가입자 규모를 지속 확대하고, 결합상품 경쟁력을 극대화해 유선분야 매출 하락세를 극복할 계획이다.
미디어·콘텐츠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3.8% 성장한 3813억원을 달성했다. KT IPTV는 올 2분기 21만명 순증을 기록하며 537만명의 가입자를 유치, 유료방송 시장의 리더십을 지속 강화하고 있다. 올해 80만명 이상의 가입자 순증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다양한 부가수익 창출을 통해 IPTV의 성장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금융·렌탈 매출은 BC카드의 안정적 매출과 KT렌탈의 활발한 성장세로 전년 동기 대비 5.5% 증가한 1조179억원을 보였다. 기타 서비스 매출은 IT솔루션 및 기타 자회사의 실적개선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한 3820억원을 나타냈다.
KT는 최근 '글로벌 1등 KT' 비전 아래 통신경쟁력 강화, 비용구조 개선, 그룹 포트폴리오 점검 등 강력한 기업개선 작업을 시행했다. 2분기부터 무선 가입자 실적 호조를 기점으로 통신사업 회복세가 점차 가시화되고 있어 차세대 성장성 확보 및 수익성 회복 노력이 빛을 발하고 있다는 평가다.
앞으로도 ▲1등 KT ▲싱글(Single) KT ▲고객 최우선 ▲정도 경영 등 4가지 핵심가치를 기준으로 끊임없는 기업개선 노력을 통해 분야별 사업 경쟁력을 극대화할 계획이다.
김인회 KT 최고재무책임자(CFO) 전무는 "2분기 영업정지와 시장이 비교적 안정화된 상황에서도 KT는 30만명의 무선가입자가 순증하는 성과를 달성했다"면서 "앞으로도 KT는 융합형 기가(GiGA) 시대, 기가토피아를 대비해 세계에서 가장 빠르고 혁신적인 통신과 융합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라고 각오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