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 7조1873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24.59% 감소했다고 31일 공시했다.
2분기는 지속된 원화 강세로 약 5000억원 수준의 부정적 환영향이 발생했다. 또 계절적 비수기 속 스마트폰을 중심으로 업체간 경쟁이 심화된 가운데 스마트폰과 태블릿PC 판매 감소와 재고 감축을 위한 비용 증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거래선 수요 약세로 인한 시스템LSI 사업 영향 등으로 실적이 감소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52조3532억원, 당기순이익은 6조2508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89%, 19.59% 줄었다.
올해 하반기 전반적으로 보면 소비자가전(CE)부문의 경우 성수기 속 커브드TV, 초고화질(UHD) TV 등 프리미엄급 TV 판매 확대로 실적 개선이 예상된다.
IT·모바일(IM) 부문은 프리미엄 휴대전화 시장에서 혁신적 플래그십 제품과 신모델을 출시하고 중저가 시장에서는 제품·가격 경쟁력을 갖춘 모델 라인업을 강화할 계획이다. 다만 시장 경쟁 심화에 따라 실적 개선 가능성은 불투명해 보인다.
반도체는 메모리 사업의 경우 견조한 수요가 지속되고 공급 증가는 제한적인 것으로 보여 실적 개선 추이가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나 시스템LSI 사업은 전반적인 거래선 수요 약세 등으로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디스플레이의 경우 LCD 패널 사업은 프리미엄급 TV 패널 판매 증가로 실적 성장이 기대되나 OLED 패널 사업은 판매 증가세 둔화와 중가 제품 증가에 따라 실적 개선을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예측된다.
한편 올해 3분기는 2분기 대비 부정적 환영향은 축소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메모리 사업은 성수기 효과가 강화되면서 전사 실적 기여도가 증가될 것으로 삼성전자측은 내다봤다.
반면 무선 사업의 경우 하반기 경쟁력 있는 모델 라인업을 강화할 예정이나 스펙·가격 경쟁 심화에 따라 3분기 실적 개선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시스템LSI 사업도 거래선 수요약세로 수익성 개선 기대가 어려우며, 디스플레이 사업도 당초 예상과 달리 실적이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CE사업 또한 계절적 요인으로 실적 둔화가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