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5461억원을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0.1% 증가했다고 1일 공시했다.
2분기 영업이익은 1분기 불법보조금 등 비정상적 시장 과열에 따른 기저효과가 반영된 탓에 전분기 대비 116.4% 증가했다.
같은 기간 매출액은 4조3054억원, 당기순이익은 497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6%, 6.4% 늘었다.
매출액은 롱텀에볼루션(LTE) 가입자 증가와 기업과 기업간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B2B) 솔루션 사업 성장 등에 힘입어 전분기 대비 2.5% 늘었다.
SK텔레콤에 따르면 가입자 중 LTE 이용자는 6월 말 기준 1538만명으로 전체의 55%를 넘어섰다. B2B솔루션 매출은 1309억원으로 전년동기 대비 23% 증가했다.
2분기 SK텔레콤은 기존·장기 가입고객의 혜택 강화에 주력했다. 지점·대리점을 방문한 모든 고객에게 데이터 쿠폰을 제공하고, 추첨을 통해 최대 30년간 통신비 무료 등 혜택을 제공하는 '찾아가자 페스티벌'을 진행했다. 찾아가자 페스티벌에 참여한 고객은 총 310만여명에 달한다. 또 VIP·Gold 멤버십 등급 고객에게 멤버십 할인 한도를 무제한 제공하는 '무한 멤버십' 프로모션을 진행하기도 했다.
이런 노력의 결과 기존·장기 고객 만족도를 대변하는 지표인 해지율이 2분기 평균 1.9%를 기록했다. 2006년 연평균 해지율 2.0%를 기록한 이후 해지율이 2.0% 이하로 떨어진 것은 8년만에 처음이다.
SK텔레콤은 2분기 세계 최초로 '광대역 LTE-A'를 상용화하고, 미래 발전에 대한 지향점으로 '정보통신기술(ICT)노믹스'를 제시하기도 했다. ICT노믹스란 ICT가 삶의 전반에서 혁명적 변화를 촉발하게 한다는 새로운 형태의 경제 개념을 뜻한다.
SK텔레콤은 3분기에도 데이터 시대를 선도할 수 있는 상품·서비스 혁신을 통해 차별화된 고객가치 극대화를 이어갈 계획이다.
황수철 SK텔레콤 재무관리실장은 "2분기 SK텔레콤은 고객이 체감할 수 있는 혜택을 확대함으로써 소모적 시장경쟁 탈피를 위해 노력했다"면서 "향후 ICT노믹스 시대에 맞는 차별화된 네트워크 경쟁력과 고객가치 지향의 특화된 서비스를 통해 경쟁 패러다임을 바꿔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