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스마트폰 요금이 전 세계 주요 도시 중 가장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국내 스마트폰 통신 요금이 저렴한 데는 이동통신사간 치열한 경쟁 속에 지난해부터 이어진 음성·데이터 무제한 요금제 도입이 크게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일본 총무성의 2014년 국제 이동통신 요금 비교조사 결과 서울의 월평균 스마트폰 이용요금이 시장 환율 기준으로 세계 7대 도시 중 가장 저렴한 것으로 집계됐다.
스마트폰 라이트요금(음성 47분·문자 338건·데이터 500MB)의 경구 서울은 2445엔을 기록했다. 스웨덴 스톡홀름이 5245엔, 독일 뒤셀도르프가 6012엔, 프랑스 파리가 6012엔, 미국 뉴욕 6309엔, 영국 런던 6405엔, 일본 도쿄 7263엔과 비교하면 크게 낮은 수준이다.
스마트폰 일반요금(음성·문자는 라이트요금과 동일·데이터 2GB)은 서울이 3595엔으로, 스톡홀름(5245엔), 파리(6012엔), 런던(7117엔) 등 다른 도시보다 저렴했다.
구매력평가지수 환율(PPP 환율·물가 수준을 감안해 구매력을 평가한 환율)로는 서울의 스마트폰 라이트요금은 3493엔으로 1위, 일반요금은 5136엔으로 2위를 각각 기록했다.
3G 피처폰(음성 82분)의 경우에는 시장환율 기준으로 서울이 1470엔으로 1위, PPP 환율로는 2101엔으로 3위를 차지했다.
일본 정부의 이 같은 조사 내용은 지난해와 비슷한 것이다. 지난해 조사에서 시장 환율 및 PPP 환율 기준으로 서울은 스마트폰 라이트 요금은 가장 저렴했으며, 스마트폰 일반 요금은 일반 환율 기준으로 가장 저렴하고 PPP 환율 기준으로 두번째로 낮았다.
일본 총무성은 매년 도시의 1위 사업자를 대상으로 이동통신 요금을 조사하고 있다. 일본 도쿄는 NTT 도코모, 미국 뉴욕은 버라이즌, 영국 런던은 에브리싱 에브리웨어, 프랑스 파리는 오렌지, 독일 뒤셀도르프는 T-모바일, 스웨덴 스톡홀름은 텔리아소네라, 서울은 SK텔레콤이 조사 대상이다.
업계 관계자는 "우리나라의 경우 무제한 요금제 등이 도입되면서 전 세계 주요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수준으로 유지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