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특별법 합의를 놓고 당 안팎에서 거센 반발에 부딪힌 새정치민주연합 박영선 원내대표가 해법을 찾기 위해 고심하고 있다.
박 원내대표는 세월호 참사 진상조사위원회에 수사권 부여는 물론 야당 또는 진상조사위에 특별검사 추천권을 준다는 '플랜B'마저 관철시키지 못했다.
지난주 유가족들은 새정치연합 당사를 항의방문했고, 대학생들은 국회 원내대표실에 진입을 시도하는 등 반발과 저항이 거셌다. 당 내에서도 '친노'계 좌장격인 문재인 의원이 "여야가 다시 머리를 맞대는 게 도리"라며 재협상을 공개 요구한 데 이어 특별법 합의에 반발하는 소속 의원 10여명이 따로 모임을 갖는 등 조직화 조짐마저 보이고 있다.
결국 박 원내대표는 지난 주말께 예정했던 국민공감혁신위 1차 인선을 미룬 채 논란의 수렁에서 탈출하기 위한 묘책찾기에 몰두했다. 여야 합의 이행고수냐 파기냐를 심각히 고민해야 하는 진퇴양난의 처지에 놓인 것이다.
일단 박 원내대표는 11일 의원총회에서 이번 합의의 배경과 내용을 의원들에게 보고하고 소속 의원들의 이해를 구할 방침이다. 의총에 대비해 9~10일 쉼없이 의원들을 만나거나 전화를 걸어 설득작업을 펼쳤다. 특검 추천권을 가져오지 못한 대신 유가족의 진상조사위원 추천 몫을 2명에서 3명으로 늘린 성과가 의미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동시에 8~9일 유족 대표단을 만나 이해를 구했다.
문제는 11일 열리는 의원총회가 당내 세월호법 논란의 고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날 의원들의 완강한 재협상 요구가 확인되고, 새누리당이 세월호 증인 협상에 협조하지 않을 경우 새누리당과의 합의파기를 선언할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