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와 이라크 사태 등 지정학적 리스크가 연일 확산되고 있지만, 대표적 안전자산으로 여겨졌던 금값은 여전히 횡보하고 있다.
금에 대한 투자 관점이 리스크 회피에서 통화정책 향방으로 옮겨가고 있다는 게 시장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심지어 일부 전문가들은 "이미 금이 안전자산으로의 매력을 잃고 있다"는 주장까지 제기하고 있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은 지난 1980년대부터 위기때마다 안전자산으로 부각됐다. 이 때문에 최근 지정학적 위기에도 매수세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금값은 올해 9% 정도 상승했고, 1300달러대에서 횡보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너무 잦고 다양한 지정학적 리스크는 더 이상 리스크가 되지 못하고 있다"면서 "앞으로는 통화정책의 변화가 가장 중요한 금융시장 변수로 여겨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실제로 금 투자자 가운데 33%는 금값 등락을 결정지을 주요 변수로 '통화정책'을 꼽았다.
인터랙티브 브로커스의 앤드류 윌킨슨 수석 시장애널리스트는 "적어도 올해 하반기까지는 금값이 연준의 통화정책 방향에 강한 연결고리를 형성할 것"이라고 진단했다.
더욱이 세계 최대 금 수요국인 인도에서 값싼 은을 선호하는 경향이 늘고 있는 점도 금값 상승세를 저해하고 있다.
일부 전문가들은 "향후 금값 랠리가 계속되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의 경기 회복세가 빨라지면서 조기 금리인상 필요성이 부각되면 금값은 떨어질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골드만삭스의 제프리 큐리 애널리스트는 "연말에 금값이 온스당 1050달러까지 하락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는 "완만한 인플레이션 속에 경기가 회복되고 있다는 확신이 서면 금값은 다시 하락할 것"이라고 판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