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카드

'야밤에 남산서 기타소리가 들리는 까닭은?'…신한카드, '코드나인 콘서트' 입소문 타고 3000명 관람객 불러

/신한카드 제공



토요일 저녁 6시, 서울 남산은 기타 소리에 휩싸인다. 인디밴드 페스티벌인 '신한카드 Code 9 콘서트'가 열리고 있기 때문이다.

지난 1일부터 매주 금·토요일 저녁 6시에서 9시까지 펼쳐졌던 콘서트는 남산 N서울타워라는 공간에서, 별도 입장권 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오픈 스탠딩 형식의 축제로 이뤄졌다.

하루에 3팀씩 모두 24번의 공연으로 꾸려진 무대는 '장기하와 얼굴들'과 '10cm', '델리 스파이스', '킹스턴 루디스카' 등 인지도가 있는 밴드와 팀들의 공연도 있었지만, 홍대나 락밴드 공연장 위주로 공연하는 팀들도 다수였다.

이번 콘서트가 문화 마케팅 프로젝트 'GREAT 시리즈'의 첫 프로그램으로 기획된 만큼 다분히 자유로운 실험정신으로 새로운 문화를 반영한 것이다.

실제 공연 또한 단발성에 그치지 않고 릴레이 형식으로 진행돼 기존 신한카드가 진행해 온 공연마케팅 방식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콘서트 홍보방식 역시 기존 매스미디어 위주의 방식을 포기하고, 자사SNS와 인디밴드 매니아들의 입소문에만 의존했다.

최근 새롭게 선보인 빅데이터 상품체계 '코드나인(Code 9)'의 이미지를 문화의 장을 통해 적극적으로 커뮤니케이션하기 위해 기존의 틀을 벗어버린 셈이다.

이 때문에 콘서트를 기획한 신한카드 브랜드기획팀 실무자들도 '과연 이게 잘 될까'라는 일말의 의구심을 완전히 떨쳐버리지 못했다고 한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20대 초·중반의 젊고 트렌디한 타겟을 겨냥해 신한카드의 브랜드이미지를 획기적으로 변화시킨다는 방향성 외에는 기존 신한카드 방식과 틀에 얽매이지 않았다"며 "다분히 실험적인데다 불확실성도 있었지만 일단 인디밴드 활성화에 투자한다는, 이른바 직감에 의존한 야성적 충동(animal spirits)의 발로로 기획한 새로운 시도였다"고 설명했다.

결과는 대성공. 콘서트는 공연 회수가 거듭될수록 반향을 일으켜 지난 16일 공연에만 3000명이 넘는 관람객이 몰렸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이번 콘서트는 인디밴드의 자유로운 도전정신에 열광하는 젊고 트렌디한 세대의 열정을 확인하는 자리가 됐다"며 "이를 통해 신한카드의 젊고 혁신적인 이미지를 지속적으로 강화하는 동시에 'Big to Great'를 향한 새로운 시도의 문화마케팅을 계속 이어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한 여름밤 동안 펼쳐졌던 신한카드 코드나인의 마지막 콘서트는 오는 주말, 마지막 무대를 남겨두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