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현대HCN "셋톱박스 하나로 방송·인터넷·스마트 서비스를 한번에!"

권기정 현대HCN 기술총괄실장 상무가 28일 서초동 현대HCN 사옥에서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셋톱박스 하나로 방송, 인터넷, 스마트 서비스를 한번에 구현하는 '현대HCN 스마트'를 소개하고 있다./사진=손진영 기자 son@



"'현대HCN 스마트'의 셋톱박스는 리얼 스마트 구현을 통한 사용자 편리성에 초점을 맞췄다."

강대관 현대HCN 대표는 28일 서초동 현대HCN 사옥에서 미디어데이를 열고 "'혁신'과 '새로움'은 현대HCN 스마트 케이블을 가장 잘 설명할 수 있는 최적의 단어"라며 이 같이 밝혔다.

현대HCN이 이날 선보인 스마트 셋톱박스는 기존 유료방송 셋톱박스와 달리 일반 방송뿐 아니라 스마트 기능, 모뎀, 와이파이(WiFi) 등을 모두 결합해 제공하는 올인원 디바이스다.

현대HCN 스마트 셋톱박스 시청자들은 TV주변을 어지럽히는 여러대의 디바이스와 기기간 초점을 맞춰 사용자환경(UI)과 사용자경험(UX)의 개선을 이뤄냈다. 고객이 채널과 주문형비디오(VOD)를 탐색할 때 불필요하게 시선을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해 중앙에 포커스를 두고 정보가 움직이는 방식을 택했다. 또 PIP(Picture In Picture)시스템을 차용해 모든 채널을 영상으로 검색할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따라 고객이 현재 채널 시청중에도 스크린 하단에서 다른 채널의 영상을 직접 확인한 후 채널을 전환할 수 있게 됐다.

TV 리모컨의 음성인식 기능도 대폭 개선했다. 음성인식률이 90% 이상에 달할 만큼 스마트해진 것이다. 셋톱박스 전원 ON-OFF, 채널 전환, VOD 검색 등 방송시청을 위한 대부분 필수 기능들이 오류가 거의 없이 음성만으로 조작이 가능하게 한다. 이는 다소 복잡한 리모컨 터치를 최소화 할 수 있어 이용자 편의성 증진에 큰 도움이 될 전망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추천 서비스 역시 시청자의 편리성을 더해 준다. 시청자가 주로 시청하는 채널과 TV프로그램, VOD 등 고객별 사용패턴에 따라 요일별, 시간대별 추천서비스가 제공된다. 이용기간이 길어질수록 축적된 고객들의 빅데이터를 바탕으로 점점 더 정확하고 편리한 추천서비스를 확인할 수 있다.

가장 눈에 띄는 기능 중 하나는 퀵부팅 서비스다. 셋톱박스의 전원을 껐다 켤 경우 1분40여 초의 부팅 시간이 소요된다. 하지만 이 같은 소요시간을 최대한 단축시키기 위해 현대HCN은 셋톱박스가 켜진 뒤 20여초 뒤 지상파, 홈쇼핑 등 15개 채널을 미리 시청할 수 있도록 했다.

현대HCN 스마트는 세컨드TV 스크린과 미러링 기능도 제공해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의 기능을 TV의 큰 화면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현대HCN 스마트 가입 시 '현대HCN 동글'이 스틱형태로 함께 제공돼 동글만 셋톱박스에 연결하면 앱, 게임 등 모바일과 태블릿PC에 있는 모든 기능과 콘텐츠를 TV에서 즐길 수 있다.

이밖에 '올 쉐어' 기능도 제공해 휴대전화에 저장돼 있는 사진과 영상을 TV 화면으로 시청할 수도 있다.

강 대표는 "현대HCN은 고객의 시청습관과 편리성에 초점을 맞춰 이제까지와 다른 새로운 스마트 디바이스를 출시하게 됐다"며 "앞으로도 급변하는 방송환경에서 시청자들에게 가장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현대HCN 스마트 서비스는 다음달 1일부터 시작하며 이용 요금은 기존 요금보다 약 20% 높아질 전망이다. 현대HCN 아날로그·디지털케이블 가입자 누구나 이용 가능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