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의 노후화로 최근 5년간 모두 7만 9569건의 안전 결함이 지적됐지만 실제 보수가 완료된 건 11%(1만 550건)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감사관은 지난 2월부터 3월까지 자치구 23곳(양천·광진 제외)과 합동으로 지하철역사의 안전관리실태를 점검한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서울메트로가 운영하는 1~4호선 구간에선 균열 6만 2638건과 누수 710건, 서울도시철도공사가 운영하는 5~9호선 구간에선 균열 1만 5931건과 누수 355건이 발생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서울메트로는 148억원, 서울도시철도공사는 53억원의 예산이 필요한 상황이지만 올해 반영된 예산은 각각 22억원, 15억원에 불과했다. 특히 서울메트로는 시설물 결함에 대한 보수 예산이 2011년 50억원, 2012년 37억원, 2013년 30억원, 올해 22억원으로 매년 0.3%가량 줄고 있다.
서울시 감사관은 "시설물 노후화로 인한 결함이 발생할 경우 대규모 보수보다 우선순위를 정해 안전 위해요소부터 근본적인 보수가 되도록 적정한 예산을 투입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는 고가역사 정밀점검을 시행한 뒤 결함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보고했지만, 현장점검을 한 결과 균열, 백태, 누수, 철재 부식 등 결함이 다수 발견됐다"고 지적했다.
특히 서울메트로는 고가역사 20곳에 대해 정밀점검을 하면서 콘크리트 비파괴강도, 콘크리트탄산화 깊이 조사 등 현장재료시험을 전혀 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박원순 서울시장은 이날 최경환 기획재정부 장관과의 조찬 회동에서 서울시 재정난과 지하철 안전관리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국비 지원을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