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부터 대입 수시 모집 스타트
올핸 한 차례 대학별 일정 꼼꼼히 체크해야
전체 65%…대부분 학생부 위주 전형 선발
2015학년도 대학입학 수시모집 원서 접수가 6일 시작된다. 전형 기간은 6일~12월 4일이다.
올해 수시부터는 원서 접수가 9월 6~18일 한차례로 통합돼 대학수학능력시험 이후에는 수시 지원이 불가능하다. 또 지역인재 특별전형이 새롭게 시행된다.
지원 횟수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6회까지 제한되고 등록과 관계없이 수시 충원합격자도 정시 지원을 할 수 없으므로 대학 및 전형, 모집단위 선택에 신중한 지원이 필요하다.
◆ 올해 모집 첫 감소…"강점에 맞춰 전형 대비"
올해 수시모집 인원은 전체의 65.2%인 24만1448명으로 지난해보다 9772명 줄었다. 이는 정부의 대학별 고사 및 적성 시험 폐지·축소 유도 정책에 따라 올해 처음으로 수시 모집인원이 줄게 됐다. 하지만 대입 선발에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수시 지원은 필수가 되고 있다.
학생부 위주 전형으로 선발하는 인원은 모두 20만3529명으로 지난해보다 급증했고 올해 처음 도입된 지역인재 특별전형으로 선발하는 인원은 67개교에 7230명으로, 총 수시모집 인원의 3.0%에 달했다. 반면 논술 모집인원과 적성시험 모집인원 수는 줄었다.
논술 모집인원은 1만7417명으로, 지난해 비해 117명 감소했고 적성시험 모집인원은 5835명으로 지난해보다 1만3585명 급감했다.
이투스청솔 교육평가 연구소 오종운 평가이사는 "2015 대입 수시를 대비하는 수험생들은 자신의 강점에 맞춰 학생부(교과/종합)와 논술, 특기 등의 전형에 대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학생부 종합 전형이나 특기자 전형에 맞춰 준비가 돼 있는 학생들은 서류 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 특히 자기소개서와 교사추천서에 토익, 토플 등 공인어학성적이나 교외 수상실적 등 외부 스펙을 기재하면 서류전형 점수가 0점 또는 불합격 처리가 된다.
◆ "6월 모의수능 3등급 이내면 논술전형"
수시 지원은 최대 6회로 제한돼있기 때문에 성적 만큼 신중한 지원이 중요하다.
이와 관련, 오 이사는 "수능 등급 조건이 지원 대학 기준에 도달해야 하고 지원 대학별로 대학별고사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면서 수시 지원시 합격 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팁을 제시했다.
이어 "학생부 교과 성적을 상대적으로 파악해 지원 전형에 맞춰 어느 정도 수준인지를 정확히 파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수시 지원 대학을 정할 때는 6월 모의고사 성적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된다.
6월 모의고사 성적 기준으로 적게는 3개 대학, 많게는 6개 대학 정도를 정하고, 자신의 학생부 성적과 대학별고사 준비 정도 등을 체크해 최종 지원 대학·전형·모집단위를 선택하면 된다.
오 이사는 "수능 모의고사 성적별로 4개 영역 평균 등급이 3등급 이내이면 논술 중심 전형, 4~6등급이면 적성 또는 면접 중심 전형이 합리적인 지원"이라고 분석했다. 인문계는 6월 모의 수능 기준으로 국수영 평균 3.0등급, 자연계는 국수영탐 평균 3.5등급이 지원 하한선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전형별로는 평소 수능 모의고사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수시 논술 중심의 일반전형과 정시까지 대비하는 전략이 중요하고, 학생부 교과 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은 수시 학생부 교과 전형이나 학생부 종합 전형에 목표를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대적으로 어학이나 수학, 과학 등의 특기 능력이 뛰어나면 특기자 전형 쪽에 중점을 두는 것이 좋다.
오 이사는 "올해는 중위권 이하 대학들의 경우에 어학특기자 전형 선발 인원이 대폭 축소됐다는 점을 참고해 합격선 상승을 고려해 지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