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초 카드사 정보 유출 사태에도 불구하고 농협·국민·롯데 등 상반기 전업 카드사의 당기 순이익이 두자릿수로 뛰어 올랐다.
4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14년 상반기 신용카드사 경영실적'에 따르면 8개 전업카드사의 당기순이익은 1조737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3.5%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수익 부분 가운데 이자수익은 1771억원으로 13.3% 감소했으나, 유가증권 매매 이익이 181.1% 증가했다.
이는 삼성카드의 제일모직·삼성화재 지분 매각으로 처분 이익이 발생한 데 따른 것이다.
이와 함께 가맹점수수료 수익 등 카드수익도 전년동기보다 4.1% 증가했다.
비용 부문에서는 대손비용 8482억원이 삼성·신한카드를 중심으로 29% 증가했고, 정보 유출 사고에 따른 카드 재발급 등의 비용도 3.7% 늘었다.
카드사별로는 삼성카드와 현대카드 등의 당기순이익이 증가했고, 신한카드는 3284억원의 순이익을 거뒀으나 전년보다는 12.3% 감소한 것으로 나왔다.
이 기간 삼성카드의 당기순이익은 2626억원으로 전년동기보다 52.2 증가했고, 현대카드 57.1% 늘어난 1194억원의 순이익을 냈다.
이밖에 정보 유출 사태로 곤욕을 치렀던 KB국민카드의 순이익은 8.2% 증가한 1909억원, 롯데카드는 5.1% 늘어난 743억원으로 집계됐다.
한편 지난 6월말 현재 신용카드 발급수는 9371만장으로 1억만장 아래로 내려왔다.
반면 체크카드 발급 수는 9886만장으로 작년 말보다 134만장 증가했다.
금감원 관꼐자는 "휴면카드의 자동 해지가 증가하고 정보유출 사고가 발생한 3개 카드사를 중심으로 카드발급이 감소했다"며 "이에 반해 체크카드 사용은 여전히 활성화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실제 KB국민·롯데·농협카드의 카드 수는 지난해 말 보다 각각 121만장, 116만장, 75만장 감소했다.
이에 따라 신용카드 회원 수 역시 전년말의 7589만명 보다 6.2% 줄었다.
카드사의 변화는 이용실적에서도 여실히 드러났다.
지난 상반기 중 신용카드 이용실적은 체크카드 사용 활성화 등에 따른 회원 수 감소 등으로 1.4% 증가에 그친데 반해 체크카드 실적은 53조3000억원으로 25.7% 늘었기 때문이다.
이밖에도 카드대출과 현금서비스는 전년보다 각각 5.2%, 7.8% 감소했고 카드론은 14조2000억원으로 1.4% 늘었다.
자산건전성 측면에서는 카드자산(신용판매+카드대출)이 79조9000억원으로 작년 말 대비 1.4% 줄었고, 전업카드사의 총 채권 연체율은 1.93%로 0.11%포인트 증가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정보유출 사고 등에도 상반기 전업카드사들의 경영실적은 크게 위축되지는 않은 양상"이라며 "앞으로 수익성 높은 겸영업무 개척 등 다양한 수익원을 개발하고, 비용절감 등 경영합리화 노력을 기울일 경우 일정수준의 수익성은 기대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금융당국은 카드사들이 건전경영을 유지하고 수익성을 높일 수 있도록 감독상의 노력을 기울여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