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래의 가정은 의미 있는 정보를 '보여주고(show me)', 당신을 '이해하고(know me)', 최적을 '제안하는(tell me)' 맞춤형 홈(adaptive home)이 돼야 합니다."
윤부근 삼성전자 소비자가전(CE) 부문 사장이 5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 박람회장의 삼성전시관 시티큐브베를린에서 유럽 최대 가전전시회 'IFA 2014'의 개막 기조연설에 나서 이 같이 밝혔다.
연설 주제는 '인간을 배려하는 미래 가정(future home)'의 구현이다. 이날 연설에서 윤 사장은 "미래 기술 혁신의 중심은 가정"이라며 "소비자가 기대하는 가치를 파악하는 인간 중심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미래 기술혁신의 주체는 기술이 아닌 사람"이라며 "기술 혁신이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를 가져온 과거와 달리 미래는 사람들의 요구와 열망에 의해 디자인된다"고 말했다.
이에 퓨처 홈은 한 개가 아닌 수십억 개의 모습이 될 것이며 다양한 소비자의 요구와 생활양식을 만족시키는, 즉 맞춰주는 가정이 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스마트기기에서 취합된 빅데이터를 스스로 분석해 라이프스타일 패턴을 학습하고 가정 구성원에게 맞춰진 솔루션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즉 집이 '인간 배려'를 극대화한다는 개념이다.
이를 위해 삼성은 인텔 등과 함께 스마트홈 오픈소스 개발을 위한 오픈인터커넥티드컨소시엄(OIC)을 결성하기도 했다.
윤 사장은 글로벌 전자업계에 "퓨처 홈은 전자산업과 고용, 나아가 사회 전반에 엄청난 파급 효과를 불러 일으킬 것"이라며 "혁신의 역사에서 함께 도약을 이뤄가자"고 제안했다.
한편 윤 사장은 '작은 구글' 네스트의 공동창업자 맷 로저스, 음향기기 분야 강자인 독일 젠하이저 그룹의 형제 CEO인 안드레아스·다니엘 젠하이저, 터키 최대 가전업체 아르셀릭의 레벤트 카키로글루 CEO 등과 함께 기조연설자로 이름을 올렸다.
글로벌 전자업계 리더로서 행한 이날 연설을 듣기 위해 각국 전자업계 관계자 1000여명이 참석했다. 건축가인 미국 MIT 미디어랩의 켄트 라슨 교수, 삼성전자가 최근 인수한 개방형 플랫폼 기업 스마트싱스의 알렉스 호킨슨 CEO 등이 찬조연설자로 나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