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조성진 LG전자 사장 "제품력으로 올해 유럽서 두자릿수 성장"



조성진 LG전자 홈어플라이언스(HA) 사업본부 사장이 유럽시장 공략에 자신감을 드러냈다.

조 사장은 4일(현지시간) 국제가전전시회 'IFA 2014'가 열리는 독일 베를린의 한 음식점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올해 유럽 가전시장에서 경쟁업체들이 3∼5% 성장할 때 LG는 두자릿수 성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그는 이런 성장에 대해 유럽 경기가 회복세를 보이는 가운데 LG의 제품력이 유럽 소비자의 마음을 흔들 만큼 신장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유럽은 밀레나 보쉬·지멘스·필립스 등 유럽 본토 브랜드에 대한 현지 소비자의 충성도가 높아 외국 가전업체가 뚫고 들어가기 쉽지 않은 시장이다.

조 사장은 이런 성장세를 고려해 폴란드와 터키의 생산공장을 증설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와 함께 조 사장은 세계 가전시장 공략의 키워드로 '스마트홈'을 꼽았다. 그는 "스마트폰이 대중화하면서 소비자들이 스마트홈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고 있다"며 "스마트폰과 접목되는 전자기기 범위가 넓어지면 어느 순간 스마트홈으로 수요가 몰릴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이어 "이전 IFA에서 선보인 스마트홈 시스템은 뜬구름 잡듯 실용성이 거의 없었지만 이번 IFA에서는 시스템 자체가 상당히 구체화됐다"고 강조했다.

올해 기준 480억 달러 규모인 스마트홈 시장은 연평균 19%씩 성장해 2019년에는 1115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LG전자 측은 예상하고 있다.

LG전자는 카카오톡 등 모바일 메신저를 통해 집안의 가전제품을 최적의 상태로 자동 설정하는 '홈챗'을 미국시장에 출시한데 이어 내년 초에는 유럽시장을 공략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

조 사장은 "이대로 착실히 가면 내년에는 매출 1위에 근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우리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가 높고 소비자들 사이에 입소문도 있어 성장가능성을 긍정적으로 본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